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렇게 만드는 모래의 양은 연간 90kg에 이른다. 푸파 길버트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물리
학과
교수와 매튜 마르쿠스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파랑비늘돔의 이빨이 강력한 이유가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법랑질 섬유로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2015년 제시카 토버트 벨기에 루뱅대 신경과학및정신생리
학과
박사의 연구에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됐다. 사람을 비롯해 영장류가 얼굴을 인식하는 원리는 동일하다. 토버트 교수팀은 히말라야원숭이에게 눈과 입이 얼굴과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사진을 보여준 뒤 얼굴의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등 부위별 생김새에 따라 호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는있다. 톰 하틀리 영국 요크대 심리
학과
교수는 새로운 사람을 만났을 때 첫인상은 얼굴의 특정 부위와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2014년 7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doi:10.1073/pnas.1409860111/-/DCSupplemental).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10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갔을까. 최근 ‘한국 개미(자연과생태)’라는 책을 펴낸 동민수 씨(강원대 응용생물
학과
2학년)와 개미를 찾아 나섰다. 그는 중학생 때부터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곤충 종 동정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개미를 알리고자 노력해 온 ‘개미 마니아’다. 겨울 개미 찾기 TIP 1: 사람 발길 적은 곳으로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좋은 다트 보드가 나올 수도 있겠죠? 차라리 눈을 감고 던져라!2011년 카네기대학교 통계
학과
연구팀은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정확도가 낮은 초보자에게 다트 100발을 던지게 한 뒤 한 발당 평균 점수를 내보니 약 11.65점이 나왔어요. 그런데 특정 영역을 조준하지 않고 무작위로 던졌을 때 ... ...
[게임카페] 기억력 훈련 게임 메모리 매치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자는 게 가능하지요. 위태로운 곳에서 절벽을 걷는 산양도 무게중심의 도사입니다. 홍
학과
는 다르게 산양은 특이한 발구조로 절벽에서도 균형을 잡고 서 있을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탐험 동물왕국의 능력자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 ...
[게임카페] 뒤섞인 사진 조각을 맞춰라! 슬라이딩 퍼즐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
[Career] 에너지 정책의 충분조건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학과
이름은 채광
학과
, 광산야금
학과
등을 거쳐 자원공
학과
에서 2007년 에너지자원공
학과
에 이르렀다. 이는 에너지원이 다양해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에너지원의 선택지가 다양해진 최근에는 에너지산업의 흐름을 제대로 읽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허 교수는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 방식을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크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클라이브 오펜하이머 영국 케임브리지대 지리
학과
교수는 “화산의 분화 조짐을 관찰하는 연구는 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가 답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2011년부터 북한 지역 백두산을 네 차례나 오르며 북한 과학자들과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