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동키즈] "우주에 수직농장 세울 겁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버튼 하나만 누르면 원격으로 물을 줄 수 있다. 나는 이런 기술들을 공부해 많은
사람
들에게 전달하고자 농업 전문대인 연암대에서 일을 시작했다.꿈은 먼 미래에 생각지 못한 곳에서 이뤄질 수 있다고 믿는다. 한국은 혼자 힘으로 발사체를 우주로 보낼 수 있는 나라가 됐다. 머지 않은 미래에는 ...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꺼지기 때문이다.스트레스에 대한 감수성이
사람
마다 다르듯이 질병에 대한 감수성에도
사람
마다 차이가 있다. 김 교수는 연구를 통해 유전체의 구조 등 후성유전체 메커니즘을 밝혀 궁극적으로 인간의 노화와 질병 치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려 하고 있다. 후성유 전체는 노화나 환경 변화 때문에 ... ...
[이달의 책] 집중하지 못하는 나 내 책임일까?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햇빛을 가리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을 것이다. 윌리엄스는 오늘날 디지털 기술이
사람
들로부터 빛을 가리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강조한다. 우리도 디지털 알렉산드로스를 올려다보며 “나의 빛을 가리지 말라”고 외쳐야 한다고. 여자와 남자는 다르다. 그런데 성별의 차이가 유전(생물)과 문화 ... ...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
이 산다?! 해저 도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
이 산다?! 해저 도시Part1.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Part2. [특집] 해저 도시 로봇이 짓는다Part3.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Part4. [특집] 미래의 ... ...
[방탈출 in 스페이스] 포털 마스터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안녕하세요. 도서관장님!”수연이와 동그리는 포털 마스터인 도서관장의 방을 찾아 들어왔다. “아무도 없는데?”그때 뒤돌아 있던 의자가 회전하며 의자에 앉아 있던
사람
의 모습이 드러났다.수연이 깜짝 놀라며 소리쳤다.“엄마?”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산에서 소금을 캘 수 있다니…! 제가 괜한
사람
을 의심했군요. 어쩌죠…?”생
사람
을 잡았다는 생각에 소금 장수가 괴로워하던 그때, 소금 장수의 아내가 저 멀리서 소리치며 달려 오며 말했어요.“찾았어요! 진짜 도둑을 찾았어요! 그런데…, 맷돌은 그만 함께 바다에 가라앉아 버렸대요!”도둑을 ... ...
[출동! 슈퍼M] 축구공을 알면, 첨단 과학이 보인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1호
‘팀가이스트’는 깎은 정이십면체 구조가 아닌 곡선으로 이뤄진 패널을 사용해 당시
사람
들을 놀라게 했어요. 패널 수를 줄여 최대한 구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서였지요. 다각형 패널이 아닌 곡선 패널이 가능했던 건 축구공 제작에 컴퓨터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한 덕분이었어요.2014년 공인구 ... ...
[수학뉴스] 수학으로 10배 빨리 범인 찾는다!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비교해 계속 조사할지 말지를 결정하지요. 이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찾고자 하는
사람
을 찾아요. 특정 임곗값은 지금껏 포렌식 유전계보학으로 목표하는 인물을 찾았던 데이터를 이용해 만든 비용효율성의 평균값이에요. 연구팀의 모의 실험 결과 이 알고리듬은 주어진 사건의 90%를 해결할 때 드는 ... ...
[수학체험실] 꼭꼭 숨어라, 곱셈 보일라! 문살 무드등 만들기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교차하는 점의 개수를 세어 답을 구한다. 이러한 점 덕분에 구구단을 알지 못하는
사람
도 곱셈 문제를 풀 수 있다. 구구단 없이도 문살 곱셈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위치에 따라 숫자의 값이 정해지는 ‘위치적 기수법’ 때문이다. 각 문살끼리 만나는 점의 개수는 위치적 기수법에 따라 그 값이 ... ...
인공지능의 내일에는 눈과 입, 귀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이용해 ‘Seeing AI’라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사람
이나 제품, 장면을 음성으로 설명해줍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됐습니다.심리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미술치료 방법 중 하나인 ‘집-나무-
사람
시험’처럼 평가자의 주관이 미치는 영향이 큰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