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지금 날씨는? 수와 기호로 말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사람마다 느끼는 온도가 다르고, 지역마다 일어나는 날씨 현상이 다르지요. 그래서 기준을 정해 표현하기로 했어요. 수와 기호를 사용해서 말이에요. 눈으로 보기 힘든 자연 현상을 수로 나타내고, 약속된 기호를 써서 지금의 날씨를 알려주지요. ...
- [출동! 슈퍼M] “비바람에도 끄떡없는 우산이 있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햇빛을 가려야 한다면 검은색 우산이 더 효과적이랍니다! 용어 설명체감온도★ 사람이 느끼는 더위나 추위의 정도를 온도로 나타낸 것을 말해요 ... ...
- [특집] 집에서 만나고 응원봉으로 빛난다! 공연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소모가 낮다는 장점이 있어요. 걸그룹 BLACKPINK의 응원봉 ‘뿅봉’은 무선통신 기술 대신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비가청 주파수’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어요. 이를 이용해 BLACKPINK 공연 중 비가청 주파수 소리 신호를 섞으면, 뿅봉이 이를 인식하고 그에 맞춰 빛을 내죠.●특허정보넷 키프리스, ... ...
- [기획] 수사일지 4일 법의학으로 학대 정황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3호
- 도움을 받고 있어요. 센터가 설립되면 담당 인력을 배치할 수 있겠죠. 초콜릿처럼 사람에게는 무해하지만 동물에게는 유해한 물질도 검출할 수 있는 인력과 장비도 있어야겠고요. 지방정부에서도 수의법의학센터를 설치할 필요성을 느끼고 절차를 준비하고 있어요. 최근에 당선된 김동연 ... ...
- [숫자뉴스] 자세히 봐야 보인다! 0.5m 초소형 게로봇 등장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노스웨스턴대학교 생체전자공학 교수는 “초소형 로봇은 작은 기계를 수리, 조립하거나 사람 몸속의 종양을 제거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어요. 용어 설명원격 조종★ 멀리 떨어진 곳에서 신호를 보내서 기계를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을 말해요.보행 로봇★ ... ...
- [똥손 박기자 수학체험실] 누가 더 빠를까? 신기한 사이클로이드 미끄럼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펼쳐졌어요. 바로 미끄럼틀에서 공 굴리기! 공이 더 빨리 땅에 닿는 미끄럼틀을 만든 사람이 이기는 거예요. 미끄럼틀은 다 똑같이 생기지 않았냐고요? 천만에요. 아주 신기한 미끄럼틀을 소개할게요! 곡선 타고 데구루루~사이클로이드 곡선 ‘사이클로이드(Cycloid)’는 바퀴를 뜻하는 고대 ... ...
- [이달의 과학사] 1972년 6월 30일 1초가 늘어났다? 첫 윤초 도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8만 6400초가 아니라 8만 6401초인 ‘윤초’가 더해진 날이었기 때문이지요.고대부터 사람들은 하루의 길이를 나눠서 시간을 쟀습니다. 하루의 정오부터 다음 날 정오까지를 8만 6400초로 나누어 하루라고 정한 것이죠. 하지만 이렇게 정한 초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지는 않았습니다. 달이 일으키는 조석 ... ...
- [헷갈린 과학] 모네의 정원에 핀 꽃은? 수련 VS 연꽃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보이는 연꽃과 달리, 수련은 암술이 꽃 안쪽 깊숙한 곳에 있어 열매를 보기 어렵습니다.사람들은 물에 떠 있는 수련의 모습이 작고 예뻐서 연못이나 정원에 관상용으로 많이 기르지만, 엄청나게 거대한 수련도 있어요. 아마존강에 서식하는 빅토리아수련은 세계에서 가장 잎이 큰 식물로, 그 지름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우리도 빅데이터 생산자! 내 권리는 내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하고요. SNS는 어떻게 내가 생각하고 원하는 것을 알까요?우리가 미디어를 사용하면 다른 사람과 나눈 대화, 검색한 내용, 보았던 동영상의 목록, 머물렀던 웹 사이트, 공유한 사진의 흔적 등이 미디어에 남게 돼요. 매일, 한 달, 일 년 등 시간이 흐르면 어마어마한 데이터가 되지요. 이를 ...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찾아봐요. 가장 꼭대기에 있는 단원의 손바닥에서부터 인간 탑의 가장 아래에 있는 사람까지 쭉 선을 그리면 그 선의 어딘가에 무게 중심이 있습니다. 선분의 가운데 지점에서 조금 아래에 있을 거예요. 무게 중심이 지면에 가까이 있을수록 쉽게 쓰러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거든요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