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는 것이 확인됐답니다.바이오블리츠에 참가한 ‘닌자거북’ 팀의 제갈준(대전 샘머리 초 3) 대원은 “버섯 탐사와 조류 탐사가 특히 즐거웠다”며, “생각보다 더 많은 생물들이 가까운 곳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2018년 바이오블리츠코리아는 대전에서 열릴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입니다. 주파수의 단위는 Hz로, 1초당 1회 반복하면 1Hz입니다. 예를 들어 100Hz는 성대가 1초에 100번 진동한다는 뜻이지요. 폭포 앞 득음이 과학적인 진짜 이유보통 사람의 목소리는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큰 진폭을 나타내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진폭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그러나 소리꾼은 중간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다. 국내 3차원 얼굴 분석 업체인 트라이큐빅스는 적외선 센서 없이 일반 카메라로 3~5초간 동영상을 찍어 얼굴을 3차원으로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트라이큐빅스가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이 동영상에서 다각도의 얼굴 이미지를 뽑아 3차원 그물 구조로 만든 다음, 여기에 실제 피부와 동일한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깊은 곳에서도 사냥을 할 수 있지만, 밤에는 얕은 곳에서 먹이를 찾지. 고래처럼 초음파라도 쓸 수 있다면 빛이 없는 깊은 곳에서도 먹이를 찾을 수 있겠지만 안타깝게도 우리에게는 그런 능력이 없어. 그래서 카메라 로거는 우리가 주로 사냥하는 밝은 지역의 다양한 생태 정보를 기록해 줄 수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접근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 중에서는 연산 처리 속도가 1130테라플롭스(TFlops·1TFlops는 1초에 1조 번 연산)로 가장 빠르다. 국내에서 가장 빠른 기상청 슈퍼컴퓨터와 비교하면 연산 속도가 약 50% 수준이며,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 500위 안에 3번이나 등재됐다. 20년 가까이 단백질을 연구하면서 장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일도 생기고요. 초등학교에 가서 봉사활동을 하는 것도 수업의 일부라 대학생이 초등학생에게 수학과 레고 조립하는 방법을 가르쳐줬답니다. Q. 레고 신기록 도전을 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나요?도전 당일 지역 주민들이 운동선수를 응원하듯이 우리의 도전을 한마음 한뜻으로 격려한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몽펠리에대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하지만 강의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학기 초에 교과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훑어보고 모든 지식을 흡수했기 때문에 수업을 들을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로텐디크의 뛰어난 재능을 눈여겨 본 교수들의 추천으로, 1948년에 파리로 가서 수학 공부를 시작했다. 1 ... ...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바꿔달라고 하지 뭐야. 소고기를 너무 오래 구웠는지 질겨서 씹히지도 않는다더군. 늘 초시계를 올려놓고 고기를 굽던 나는 김손님씨의 말을 의심할 수밖에 없었지. 그때 나는 음식을 바꿔줬을까, 안 바꿔줬을까? 고기마니의 판매가격은 9000원이고, 식재료 원가는 5000원이다. 손님의 요구대로 ... ...
-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못하게 하는 역할도 한답니다.리암이 아이폰 한 대를 해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1초예요. 이는 사람이 작업하는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지요. 또, 리암은 손톱 크기보다 작은 나사까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적은 양의 금속도 추출할 수 있답니다.미생물로 금속만 쏙쏙~전자제품에서 순수한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세균은 점막이나 장 안쪽 피부를 통해 침투한다. 세균이 점막에 접촉하는 최초 몇 초는 감염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세균이 점막 표면에 닿았다는 사실을 어떻게 인지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우르스 예날 바젤대 바이오젠트룸 연구그룹 교수팀은 병원성이 없는 카울로박터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