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낯선 거래 방식인데다 1초에 약 2만 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신용카드에 비해 가상화폐는 1초에 7건 정도밖에 처리를 하지 못할 정도로 느리기도 하지요. 아흐마디뿐 아니라 여전히 문화 차이 때문에 또는 은행을 지을 수 없을 정도로 사는 곳이 낙후돼서 은행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이 대략 25억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지난 10월 로보비가 비행뿐만 아니라 수영도 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돼 화제가 됐어요. 초당 9~13회 정도로 날갯짓하며 물속에서 움직이던 로보비가 공중으로 뛰어올라 놀라움을 줬지요. 최근에는 자율 비행 프로그램과 오랫동안 날기 위한 전력 공급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요.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따라서 옷차림을 기온에 따라 세분화해야 합니다. 가령 11월이나 12월 초, 2월이나 3월 초 영상의 기온에는 옷을 가볍게 입혀 아이가 추위에 적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고, 날씨가 영하로 떨어지는 12월 중순부터 1월까지는 손과 발의 보온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유행에 따라 롱패딩을 사달라는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관련이 있는 다른 분야의 기사를 직접 찾으려면 수 분 걸리지만, 에어스 기술은 수 초 만에 추천해준다”며 “2016년 2월부터 뉴스에 에어스 기술을 적용한 뒤 1인당 기사 소비량이 30~40% 가량 증가했고, 사람들마다 읽는 기사의 분야도 다양해졌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제휴 언론사만 380개가 넘고,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fs(펨토초·1fs는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화학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고 말했다. E-XFEL은 최초에 방출되는 한 줄기의 방사광을 여러 갈래로 나눠 서로 다른 목적의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그 갈래 하나 하나를 빔 라인이라고 한다. 현재 E-XFEL에는 6개 빔 라인이 구축돼 있으며, 이 가운데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하죠. 만약 이 언어가 완벽하지 않다면 인공지능도 완벽해질 수 없지 않을까요? 20세기 초 버트런드 러셀, 다비드 힐베르트 같은 수학자들은 수학을 한글이나 영어처럼 기호와 문법이 있는 언어로 만들려고 했어요. ‘어떤 두 자연수를 더하면 그 수도 자연수다’ 같은 수학 명제를 미리 약속한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피아노로 연주하면 더뮤지션은 배경으로 나오는 MR과 유저가 치는 피아노 소리를 1/60 초마다 믹싱해 채널 하나에 담은 다음 들려준다. 믹싱한 결과를 압축하는 기술도 필요했다.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는 낼 수 있는 소리의 크기에 한계가 있다. 여러 개의 음원을 합치면 그만큼 소리의 크기도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팔이나 다리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거든요. 2017년 11월 27일, 미국 시카고대학교 니초 해초풀로스 교수팀이 원숭이의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사고로 팔을 잃은 지 4~10년 된 원숭이들의 뇌에 전극을 심고, 여기서 온 신호가 로봇팔에 전달되도록 만들었지요. 이후 4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로봇 기자는 한 달에 1만5000건의 기사를 작성하고, 한 건의 기사를 작성하는 데 1초가 걸리지 않는다. 스태츠 몽키를 개발한 크리스티안 하몬드 내러티브 사이언스 최고기술책임자는 당시 “2017년에는 컴퓨터가 퓰리처상을 받게 될 것이며, 2030년에는 기사의 90%를 인공지능이 쓸 것”이라는 전망을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대표적인 융복합 연구 분야다. 인간과 동물의 유전적 특징을 자세하게 밝혀내는 기초과학 연구에서 시작해 생명공학, 의료공학 등 공학 분야와 두루 협력해야 실현이 가능하다. 대학과 병원, 산업계의 협력이 필수다. 인공장기 기술은 향후 사회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