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엄청나게 다르겠지만 몸의 중심축에 대해 좌우대칭일 가능성이 높다. 효과적으로
먹이
를 잡고 적을 피하는 데 좌우대칭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지구 최초의 좌우대칭동물인 플라나리아로 대표되는 편형동물에서 그 대답을 찾는 게 빠를 수도 있다. 즉 외계생명체는 감각을 받아들여 명령을 내리는 뇌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뽑힌 나무가 군데군데 눈에 띈다.5 제주도에 흔한 미끈도마뱀. 11월임에도 날씨가 따뜻해
먹이
를 찾아 나섰다. (영산강유역환경청 김영호 씨가 미끈도마뱀 생태를 설명하는 동영상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에서 볼 수 있다.)6 오름 정상으로 가는 길에는 제주도 특산인 제주조릿대가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주름잡았다. 몸무게 5t, 몸길이 12m에 머리 크기만 1.5m.강력한 턱에 날카로운 이빨이 있어
먹이
를 물면 어지간해 놓치지 않는다.생김새는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하지만 티라노사우루스보다 조금 전 시대에 살았다. 아시아(몽골)에서 화석이 발견됐으며 다큐에선 주인공 ‘점박이’로 나온다.주인공은 ... ...
닭들이 조류독감에 걸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잘 되는 것에 질투가 나서 그만 거짓으로 신고를 하고 말았어. 자네가 없는 동안 일부러
먹이
도 주지않았지. 용서해 주게~.”이기심 씨의 말을 들은 닥터고글은 친구 사이에 싸움이라도 날까 바짝 긴장을 한다. 그런데 갑자기 이기심 씨의 두 손을 붙잡아 일으키는 정성만 씨.“이 사람! 친구 사이에 ... ...
지구의 지배자, 개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있고 이마에는 홑눈 세 개가 삼각형을 이루고 있어요. 집게처럼 생긴 턱은 아주 날카로워
먹이
를 자르기에 적합해요. 가슴에는 세 쌍의 다리가 달려 있어요 ... ...
[지구물리] 시끄러워지는 바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수중음파탐지기는 500km가 넘게 떨어진 곳에서도 고래의 행동을 교란시키며 소리로
먹이
를 찾고 포식자를 피하는 물고기나 돌고래에게도 피해가 간다.헤스터 박사는 “바다가 조금만 산성화돼도 소리가 전달되는 정도가 너무 크게 변해 깜짝 놀랐다”고 말하면서 “이는 이미 배나 해군의 ... ...
SPORE, 게임에 진화가 팍팍?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해조류를 먹일 수도 있고 다른 세포를 공격해
먹이
로 먹도록 할 수도 있다. 일정량 이상
먹이
면 몸집이 커져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암수가 만나 짝짓기로 종족을 번식하기도 한다.2. 크리처 단계자신의 크리처(생명체)를 번식시키고 새로운 크리처로 진화시킬 수 있다. 크리처에 눈, 입, 손, ... ...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의 극단 생태계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보물을 쉽게 보여주지 않는다. 이곳의 생명체 대부분은 모래 밑에서 주로 생활하고
먹이
를 찾기 위해서 잠깐 밖으로 나온다. 따라서 사막의 생명체를 찍으려면 여러 주 또는 여러 달을 이들이 사는 혹독한 환경에서 함께 지내야 한다. 극단적인 더위와 추위, 강풍과 함께 물이 다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물결을 일으켜 바닥의 작은 갑각류를 떠오르게 한 뒤 물방울을 집어 속에 들어 있는
먹이
를 먹는다. 부리 사이의 물방울은 표면장력 때문에 입속으로 빨려 올라간다. 부리를 살짝 벌린 상태에서 들어온 물방울을 부리를 살짝 닫아서 눌러주면 물방울이 눌려 앞뒤로 퍼진다. 그런데 다시 부리를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산다. 배가 고프면 먹을 것을 찾고 때가 되면 짝짓기를 하고 새끼를 키운다. 배가 부르면
먹이
가 있어도 욕심내지 않고 자신의 새끼가 위험하면 목숨을 걸고 방어한다. 동물의 이런 생태적 특성과 행동양식을 정확히 알고 이를 가감 없이 포착할 수 있는 시각이 바로 동물의 눈높이다. 그 다음은? 바로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