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즐거운 동물이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발달로 동물의 의식과 감정을 밝힐 수 있는 길이 열린 덕분이다.동물원의 이구아나는
먹이
가 놓여있지만 차가운 우리 모퉁이와 따뜻한 태양램프가 내리쬐지만 높은 바위 가운데 어느 쪽을 택할까. 미국 테네시대의 비교행동학자인 고든 부르크하르트 교수는 후자의 경우가 이구아나의 입장에서 더 ... ...
뻐꾸기도 울고 갈 영악한 나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알을 자신의 알로 착각하고 집으로 가져간다. 그 뒤 나비의 알이 부화하면 개미는 열심히
먹이
를 물어다 애벌레를 애지중지 키운다. 그렇다면 개미는 왜 나비의 알을 자신의 알이라고 착각하는 걸까. 내시 박사는 개미가 자신의 알을 독특한 냄새로 알아본다는 사실에 착안해 나비와 개미의 알에서 ... ...
컴퓨터로 열대어 키운다 컴피쉬 COMFISH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모여들고 손가락을 따라 요리조리 헤엄쳐. 산소를 공급하고 수온을 맞춰주는 것은 난데,
먹이
주는 손가락이 더 좋은가봐.그래도 열대어가 아프면 내게 고마워할걸. 물고기가 아프면 색이 달라지거나 이상한 행동을 하는데, 웹캠만 있으면 이를 촬영해 전용 프로그램으로 저장할 수 있어. 이 ... ...
한겨울에 곤충 보러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나비를 볼 수 있겠지. 물론 온도와 함께 원래 곤충이 살던 환경을 잘 꾸며 주고
먹이
도 잘 챙겨 줘야 하겠지?으라차차! 곤충들과 친구하기!이제는 곤충들과 신나게 놀 차례야! 하지만 ‘어린이과학동아’명예기자의 명예를 걸고 그냥 놀 수는 없지! 어떤 과학이 숨어 있는지 하나하나 알아볼까 ... ...
사람 소리 구별하는 똑똑한 모래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걸 알게 했지요. 모음 10쌍을 바꿔가며 훈련시킨 결과, 모래쥐는 금세 규칙을 깨닫고
먹이
가 있는 통으로 달려갔어요.모래쥐가 모음을 구별할 수 있게 된 거죠.과학자들은 이 실험을 통해, 유아기때 소리의 차이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 ...
'좀비 바퀴벌레' 만드는 방법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위해서다. 알을 낳기에 적당한 바퀴벌레를 고르고 바퀴벌레에 침을 쏘아 마비시키는데,
먹이
를 마비시키는 것은 다른 동물도 즐겨 쓰는 사냥법 중 하나다. 하지만 리버샛 교수팀이 관찰한 결과, 마비된 동물은 보통 제자리에서 꼼짝도 못하는 데 비해 이 말벌의 침을 맞아 마비된 바퀴벌레는 말벌이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오’(aw)와 American의 ‘아’(ah) 같은 모음 10쌍을 실험하자 모래쥐는 금세 규칙을 깨닫고
먹이
가 있는 통으로 달려갔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모래쥐의 능력도 제각각이었다. 잭슨과 워싱턴이란 이름의 모래쥐는 열 번에 아홉 번 비율로 모음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반면 모래쥐 링컨은 정답률이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남극새우라고도 부른다 남극해역에 회유하는 수염고래류와 어류, 바닷새류의 주요한
먹이
다 5-8억t에 달하는 방대한 생물자원으로 추측된다호밀을 비롯해 보리와 밀과 같은 맥류와 화본과식물의 잡초에 기생하는 곰팡이 종류다 곰팡이균의 핵이라 할 수 있는 작은 알갱이 모양의 균핵 이름이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받는 편이지만 플랑크톤을 먹는 다른 물고기에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해양
먹이
사슬이 깨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곧 이들은 양식장이 밀집한 근소만으로 이동했다.과학자들의 끝없는 만리포 사랑서해안의 아름다운 낙조를 뒤로한 채 임 박사팀은 급히 의항리로 향했다. 바닷가에는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하다 건강한 자손을 낳는 데 실패했다. 게다가 살충제나 농약 때문에 생태계가 파괴되고
먹이
인 곤충이 줄어 멸종 위기에 처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크낙새 표본을 소장하고 있는 곳은 이화여대 자연사박물관이다. 과거 창덕궁 동물원에서도 1943년에 사육한 적 있다고 전한다.목각표본으로 남은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