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됐을까.엘리지아의 광합성 능력 획득 과정엘리지아는 태어날 때 엽록체가 없기 때문에
먹이
에서 엽록체를 얻어야 광합성을 할 수 있다.1. 엘리지아 유생(몸길이 0.5mm)은 무색투명하다.2. 몸길이가 5mm 정도가 되면 바우체리아를 먹기 시작한다.3. 5일쯤 지나자 몸에 녹색기운이 완연하다.4. 성체는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많은 ‘존재’들이 박물관을 엉망으로 만들 음모를 꾸미고 있다. 박물관의 유물을
먹이
로 삼는 해충이 바로 그들이다.문화재 갉아먹는 인삼벌레와 권연벌레길고 긴 겨울이 가고 만물(萬物)이 깨어나는 4월에 자칫 관리를 잘못하면 박물관은 순식간에 해충 ‘천국’으로 변할 수 있다. 특히 박물관에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비행 덕분에 야행성인 나방은 박쥐의 공격에서 벗어나고, 낮에 다니는 나비는 새의
먹이
가 되지 않는다”며 “이들은 민첩한 비행을 위해 커다란 뒷날개를 발달시켰다”고 설명했다. 보통 새들이 공중에서 곤충을 잡을 때는 비행 궤적을 예측해 돌진한다. 대공포가 비행기를 격추하기 위해 포탄을 ... ...
[환경학]기후 변화가 빈곤한 ‘바다 밥상’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떨어진 조류가 물벼룩과 같은 1차 소비자를 부실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엔
먹이
사슬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물벼룩을 잡아먹은 작은 물고기,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은 큰 물고기가 모두 부실 체질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수산물을 섭취하는 사람도 충분한 ... ...
“그때 그때 달라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늘어나면서 무리를 짓고 공격적으로 변한다는 거예요. 그 결과 무리지어 날면서 빠르게
먹이
를 먹어치우게 되지요.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메뚜기 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 ...
[생태학]냄새 기억해 귀가하는 사막 개미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맡으며 길을 찾는다. 하지만 사막에 사는 개미는 그러기가 어렵다. 사막은 기온이 높고
먹이
가 귀해 100m 이상을 돌아다니는 일이 잦아서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사막 개미는 시각 정보를 이용해 길을 찾는다고 알려져 있었다.연구에 참여한 마커스 네이든 박사는 “사막 개미가 서식처의 시각 정보와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산다. 이것들은 화학물질과 물속에 녹아있는 기체를 감지할 수 있는 감각기관이 있어서
먹이
쪽으로 유영하고 독이 있는 곳으로부터는 피한다. 1975년 미국의 과학자 리처드 블레이크모어는 진흙이나 늪에 살고 있는 혐기성박테리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그는 염기가 있는 연못의 ... ...
[생태학]난폭한 메뚜기 ‘세로토닌’이 원인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사람의 뇌에서도 분비되는 물질로 행동과 기분에 영향을 준다. 메뚜기의 경우
먹이
가 부족하거나 서식 장소가 좁을 때 세로토닌 분비량을 증가시킨다. 척박한 환경이 메뚜기의 공격성을 자극하는 셈이다.연구팀은 이번 분석 결과가 메뚜기 떼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찾는 계기가 될 ... ...
자이언트거북의 천국 알다브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바다의 원시성을 체감했다. 알다브라 근해의 해양 생태계는 자연 그대로인 상태로,
먹이
사슬의 최상위층이 손상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밀물 때 환초 주변은 흑기흉상어들이 우글거리고 ‘보아 스냅퍼’(bohar snapper, 도미의 일종) 떼가 산호 위를 덮고 있다. 바다 속 갈라진 바위틈엔 다금바리가 꽉꽉 ... ...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해양생태계의 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이 없으면 이를 먹고 사는 미생물도 살 수 없어
먹이
사슬이 형성되지 않는다.결국 유광층 아래에는 이 층에서 미처 분해되지 않고 가라앉은 유기물을 먹고 사는 적은 수의 미생물만 존재한다. 그런데 수심이 깊어질수록 유기물의 양이 줄어들어 세균 같은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