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1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무인기 3종 기후변화 현장 그린란드 빙하 상공을 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7
대처방안 제시에 활용할 계획이다. 극지연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는 무인기로 바다얼음
표면
의 높낮이지도를 처음으로 제작하는 등 다양한 극지 빙권 연구를 거쳐 러셀빙하를 분석하기로 했다. 김성규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은 “한국-덴마크 간 지속적인 기술협력을 통해 국내무인기의 ... ...
배터리 원료 부족, 심해 5000m 해저 채굴로 해결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17
땅을 파고 드릴로 바위를 깨는 지상 채굴 방식과 다르다. 특히 망간단괴는 해저
표면
에 드러나 있어 흙을 털어내고 줍기만 하면 된다. 크레이그 세스키 메탈스컴퍼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마치 골프연습장에서 골프공을 줍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망간단괴에는 망간 20~30%를 비롯해 40여 종의 ... ...
코로나19 DNA 백신 인도서 첫 긴급사용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방식이다. 피하 조직에는 면역세포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근육 주사가 아닌 피부
표면
에 미세한 구멍을 내 고압 유체 흐름을 생성해 피하 조직에 백신을 투여하는 애플리케이터가 활용된다. ZyCoV-D는 예방효과가 90% 이상인 mRNA 백신보다 낮은 67%의 예방효과를 보였지만 델타 변이바이러스(인도 ... ...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 "비대면 수업 길어지면 득보다 실"…"집단감염 주의하며 대면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9.11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지만 학계에서는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입할 때 결합하는 세포
표면
의 수용체가 성인에 비해 적기 때문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 교수는 "10대 청소년들은 성인에 비해 상당히 밀접 접촉한 생활을 많이 하고 스스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기 어렵다"며 "코로나 ... ...
몸 속 돌아다니며 노폐물만 삼키는 '팩맨' 캡슐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어렵지만 영양분을 삼기는 세포 기능을 구현한 캡슐을 아주 작게 만드는 기술부터
표면
에 그보다 작고 정교한 구멍을 뚫어 물질을 흡수하고 배출하는 기능까지 구현해 뛰어난 기술적 진보를 이뤄냈다"며 "지금까지 찾아보기 어려운 획기적인 연구 성과라고 본다"고 말했다 ... ...
한화 우주자원 채굴에도 손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9
발사예정인 한국형 달 궤도선(KPLO)의 국내 탑재체 중 하나인 감마선분광기를 활용해 달
표면
의 원소지도와 우주방사선 환경지도를 만들 예정이다. 여기서 만들어진 원소 지도를 활용해 이후 달에서 유용한 우주 자원을 채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다. 김광은 지질연 원장 직무대행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 감염이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킬까
2021.09.07
과도한 염증반응이 일어나 세포가 파괴될 때 나오는 자가항원을 항원제시세포가 먹고
표면
에 내보낸다. 방관자였던 자가반응성T세포가 이를 인식해 활성화되면 이 자가항원을 지닌 정상 세포를 공격해 파괴한다. 해당 자가항원과 비슷한 분자를 지니지 않은 바이러스도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할 수 ... ...
[카드뉴스]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21.09.07
움직이는 현상을 일으키는 힘인데 관이 얇을수록 강해집니다. 모세관 현상은 액체의
표면
장력과 관 안쪽 벽과 맞닿은 액체의 각도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펜촉을 빨리 움직이면 더 얇은 선이 나오는 것도 모세관힘 사이의 동적평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잉크가 이동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 ... ...
순수한 물을 금속으로 바꾸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2021.09.07
최종 확인했다. 물방울 색이 변한 것도 금속의 전형적 특징인 자유전자의 플라스몬 공명(
표면
에 입사한 빛에 자유전자가 들떠 공명하는 현상) 때문이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로버트 자이델 독일 헬름 홀츠-젠트롬 베를린연구소 연구원은 “금속성 물이 지구에서도 만들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 ...
체중 288g '생존확률 1%' 이겨낸 건우의 기적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폐포가 아직 완전히 만들어지지 않아 자발호흡이 불가능했다. 곧바로 기관지 내로 폐
표면
활성제를 투여하자 다행히 심장이 뛰기 시작했고,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집중치료를 시작했다. 하지만 건우는 미숙아 중에서도 초극소저체중미숙아라 일반적인 미숙아에게 시행되는 치료법도 쓰기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