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퀘이사라는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X선을 내는 연성의 한 쪽이 검은 구멍일 확률이 크다. 그러나 확률은 확률일 뿐이다.우리
은하
중심부의 활동으로 미루어 보아 1만년 내지 10만년 전에 엄청난 폭발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사건이 퀘이사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앞으로 진행 될 더욱 심도있는 연구의 결과가 기대된다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은하
수 방향으로 갈 때마다 공간에서 오는 전파의 잡음이 감지됐다. 그는 이 전파 잡음이
은하
계 속에 근원을 둔 전파원에서 오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그 후 1936년 레버(G. Reber)는 지름 10cm 정도되는 밥공기 모양의 전파 안테나를 통해 우주에서 오는 전파를 관측했다. 오늘날에는 전파 천문학이 ... ...
하늘이 지구를 양육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이다. 북두칠성과는 달리 국자의 자루 부분에 별이 두개 밖에 없어 '육성'(六星)이다.
은하
수 주변에는 많은 성운성단들이 산재돼 있다. 쌍안경을 준비하면 더욱 많은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네온이나 밝은 가로등, 매연과 스모그가 있는 도시의 하늘에서 반짝이는 별들을 보기는 어렵지만, ... ...
NASA 우주탐사기 발사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Backgound Experiment)라는 첨단장치가 그것이다. 이 장치는 우주초기에 생성된 원시별과
은하
들의 방사선을 탐사할 수 있어 특별한 관심을 끌고 있다.COBE는 도합 2.4mm 굵기에 약 2.8t 무게의 관측장비를 싣고서 지구의 주야경계선 부근, 고도 9백km 상공에서 원궤도를 돌고있다.현재 COBE가 보내오는 자료들은 ... ...
쿼크와 렙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탄생후 1억년 정도 지나면 우주의 군데군데에서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은하
가 탄생하고
은하
의 내부에서 별이 생성된다. 별의 내부에는 높은 온도가 형성되므로 여기에서 다음 단계의 안정한 핵인 탄소와 산소가 만들어진다. 그러다가 별이 그 일생을 마감할 무렵에는 무거운 원소들이 등장한다. ... ...
우주 연구에 신기원 연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천체물리학분과의 조지 필드 박사는 X선이 최근 발견된 우주의 '거대벽'(great walls,
은하
집단의 상호결합형태)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밝혀줄 것이라고 예상했다.1997년에 쏘아올려질 예정인 X선관측천체망원경은 X선이 광학망원경의 거울을 통해 반사되지 않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특별히 기존 ... ...
우주의 형성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큰 것이었다. 입자들은 스크린 속에서 구조를 형성, 빈 공간을 둘러싼 긴 완곡선 모양의
은하
수처럼 보인다. 간단히 말해서, 이 실험은 현재 실존하는 우주와 비슷한 모습을 만들어낸 것이다.물론 박창본씨가 이루어 낸 것은 해답의 시작을 찾는데 도움을 주었을 뿐이다. 보다 큰 우주를 대상으로 ... ...
우주적 위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그것은 아주 강력한 하전입자들로 돼 있는데 그 대부분은 빈 성간공간 그리고 아마도
은하
들 사이를 질주하는 양성자들이다. 우주선의 길은 전자기장을 지나는 동안 꼬이고 구부러져 모든 방향으로부터 지구에 충돌하는 것으로 끝난다.이 우주선은 대기를 때려 그 원자와 분자들을 치고 지구 ... ...
우주를 보는 또 하나의 창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할애해 서울대 연세대를 비롯한 5개대학의 교수 및 대학원생들과 함께 성간구름과 외부
은하
등의 관측을 주제로 한 6개 연구과제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서브밀리파 기술로 발전현재 세계적으로 우주전파 관측은 센티미터 영역에서는 독일의 1백m 호주의 64m, 밀리미터 영역에서는 일본의 45m ... ...
「
은하
집단」 4억광년 간격으로 존재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것이 아니라 몇 개의 물방울이 합쳐져 있는 표면에 떠있는 형태라는 것(거품이론). 또한
은하
집단 사이의 간격은 1억광년, 다음은 5억광년처럼 흩어져 있다고 알려졌다. 이번 관측은 이런 측면에서 종래의 이론을 뒤엎을 가능성이 있다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