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스미스의 소설에서 우주공간에 '초(超)공간 튜브'를 사용해서 한
은하
계에서 다른
은하
계로 순식간에 이동하는 것을 읽은 적이 있었다. 그는 초공간능력을 게임에 적용시켜 게임자가 급박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비상 단추를 누르면 초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사용자는 한 게임에서 ... ...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리고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좀더 시야를 넓혀서 지구표면 전체나
은하
계 전체의 공간을 생각한다면 유클레이데스기하학은 쓸모가 없어진다. 현대 물리학 분야, 특히 상대성이론을 통해서도 비유클레이데스기하학의 '현실성'이 명확하게 증명됐다. 실제로 대폭발(Big Bang)이후 무한히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다니던 심부름꾼이라고 전하기도 한다.작은 별들이 구름처럼 무수히 모여 있는 여름의
은하
수 속에는 우리들이 잘 모르는 조그마한 별자리들도 많이 있다. 그중 독수리자리 북쪽으로 견우와 직녀의 중간에 놓인 화살자리는 모양이 확실해서 약간만 주의를 기울이면 어렵지 않게 알아볼 수 있는 ... ...
한여름밤의 꿈,
은하
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가지고 코쿤 서쪽 약 3°위치에 뻗어있는 암흑 성운을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암흑성운이
은하
수면과 밝은 성운 주위와 대조되기 때문에 두드러진 결과이다.세페우스 자리에 있는 NGC7023도 여름철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반사성운의 하나다. 그러나 이 천체는 대부분의 관측자들에게 잊혀져 있다.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행성상 성운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존재하는데, 평균 수십만년의 수명을 가진다. 우리
은하
에는 대략 1만개 정도의 행성상 성운이 존재하리라 여겨지는데 지금까지 밝혀진 것은 1천개 정도다. 유명한 행성상 성운으로는 거문고자리의 고리성운, 작은여우자리의 아령성운, 큰곰자리의 올빼미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통합되어 고도문명에 의한 번영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1만2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은하
제국에는 수세기에 걸친 붕괴의 조짐이 점차 표면화되기 시작한다.이 엄청난 파국을 감지한 유일한 사람은 해리 셀던이라는 심리역사학계의 최고 권위자였다. 심리역사학이란 통계수학과 집단 심리학을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나선 팔 바깥에 위치하며 매우 오래된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반해 산개성단들은
은하
의 나선 팔에 위치하며 대부분 젊은 별들의 집단이다. 한편 성운이라는 것은 우주의 먼지나 작은 물질들이 모여 있는 것이다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오늘날의 우주에서 Λ, 즉 진공의 에너지밀도가 엄청나게 작다는데 있다. 최근에 행한
은하
들의 관측을 통해 알려진 에너지밀도는(물질밀도×${C}^{2}$, C는 광속도)는 ${10}^{-29}$g/㎤ 이하다. 따라서 진공의 에너지밀도가 달리 관측되지 않으므로 역시 이 값을 넘을 수 없다.그런데 양자물리학에 따르면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때문에 한쪽 면이 평평하게 보이는 모습을 8인치 망원경으로 확인할 수 있다.봄철의
은하
들과 달리 구상성단들은 그 밝고 뚜렷한 모습으로 깊은 인상을 남긴다. 미국의 유명한 아미추어 천문가 한사람은 "우연한 기회에 본 구상성단이 나의 삶을 바꾸어 놓았다"고 말했다. 당신이 처음 망원경으로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존재하지 않았으며 또한 앞으로도 영원한 시간을 존재하지는 않으리라는 것이다.
은하
계들이 탄생해서 빛을 발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있고 또한 언젠가 우주에서 사라지며 빛을 잃어버릴 때까지의 시간이 있다.다시 말하면, 우주엔 무한한 수의 별들이 있을는지 모르나 무한한 시간동안 빛을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