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d라이브러리
"
멸종
"(으)로 총 1,2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버클리의 생물학자들은 첫번째 견해로서, '이브'의 후손들만이 무언가의 이유로 차차
멸종
해간 네안데르탈인이나 다른 고생인류의 후손들을 제치고 살아남았다고 보고 있다. 여러 고생인류의 후손이 각각 독립적으로 진화했다고 보는 견해는 오늘날 유럽인이 네안데르탈인, 중국인은 북경인,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중요한 과제다. 물개 및 고래의 포획이 금지돼 있으며 20개의 특별보호구역이 지정돼
멸종
되기 쉬운 남극고유의 포유동물 새 및 식물화석 등을 보호하고 있다. 개를 풀어 놓아서는 안되며 새와 물개의 부화시기엔 사람이 걸어다니면서 이들을 교란시켜서도 안되게 돼있다. 또 과학적 특별관심지역 2 ...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높이까지 이를 수 있었을까? 어떻게 이륙하였는가? 그것은 수수께끼이다. 또 이것은
멸종
한 독수리나 큰 프테로사우르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 다른 수수께끼는 왜 옛날에 살았던 동물들은 지금 존재하고 있는 동물들보다 훨씬 더 거대하였는가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아있는 가장 큰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오는 91년 화와이에서 열기로 결정했으며 ① 해안생태계보존 ② 삼림보존전략 수립 ③
멸종
위기에 있는 생물의 국제교류 ④ 과학의 평화적 이용등 9개항의 대정부 권고사항도 채택했다. ■ 제8차 아시아 태평양 암학회 학술대회9월14일부터 19일까지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이 대회에는 1천2백32명 ... ...
나일강농어 거대한 물고기가 일으킨 재난 토착어류
멸종
, 식량자원고갈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 학명 Lates Niloticus)가 열대지역에서는 세계 최대인 빅토리아호에 침입, 작은 물고기를
멸종
시키고 있다.이 농어는 완전히 자랐을 때 무게가 2백50kg, 크기는 2m정도나 되며 플랑크톤이나 수초(水草)곤충의 알등은 전혀 먹지 않고 작은 물고기만을 잡아 먹는다. 이에 따라 빅토리아호의 2백여종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모색한다. 컴퓨터를 이용해 문제의 전파를 분석해본 결과, 20세기 후반 지구상에서
멸종
된 돌고래의 음성신호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체불명의 전파는 인간보다 지능이 뛰어난(?) 돌고래와의 교신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이렇게 해서 지구를 구출하기 위한 필사적인 ... ...
전세계 350여마리뿐이라는 노랑부리 백로 1백여마리 서해 무인도에 숨어 살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국제 자연보호연맹(IUCN)과 국제조류보호회의(ICBP)의 적색부호(시급히 보호가 요청되는
멸종
위기동물에 붙이는 부호)22호 노랑부리백로떼의 발견은 그만큼 충격적이었다.이날 3시간동안의 조사에서 확인된 노랑부리백로는 약50마리. 쇠백로 3백50여마리, 괭이 갈매기 2백여마리들과 이웃하여 이 섬의 ... ...
가장 큰 날짐승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6천5백만년 전 지상의 날짐승 가운데 가장 큰 덩치를 가졌던 '프테로사우루스'가 갑자기
멸종
해 버렸다. '프테로사우루스'의 사라짐은 우리에게 가장 까다로운 수수께끼의 하나로 볼 수 있는 의문을 남겨 주었다. 즉 몸의 크기가 일부는 상당히 큰 비행기만했었는데 이 날개달린 파충류가 어떻게 날 ... ...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자라는 수초를 갉아먹는다.이로 인해 재래종 민물고기의 개체수가 크게 줄었거나 일부는
멸종
직전에 있으며 수서식물의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는 것. 이같은 사실은 환경청이 지난해 전국 2백7개의 댐과 저수지를 조사한 데서 밝혀진 것으로 육식성ㆍ잡식성ㆍ초식성 도입어류가 대량 방류되면서 ... ...
레이저 디스크에 수록된 자연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것만으로도 화면속으로 끌려 들어가버리고만다. 이번의 동물영상 대백과에서도 이미
멸종
되어버린 진귀한 동물이나 사람들과 친숙한 이름이 되어버린 팬더나 해표의 익살스런 모습을 볼 수 있다. 전8권에 수록된 동물은 큰것은 코끼리나 고래에서 현미경으로밖에 볼 수 없는 원생동물까지 7백1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