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d라이브러리
"
멸종
"(으)로 총 1,277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
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조개비 앞에서필자는 금년 가을에 제주도에 다녀왔다. 바닷가의 동물들이 살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고 그것들의 사진을 찍기 위해서였다. 서귀 ... 지구의 '왕자'로 군림하게 된 것이다.만약 인간이 앞으로도 계속 다른 생물들을 대량
멸종
시킨다면, 그 뒤의 생물의 세계는 어떻게 변할른지 ... ...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땅에서 오랫동안 서식해온 우리의 삽사리는 최근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거의
멸종
단계에 이르고 있다. 삽사리에 대한 최초이자 유일한 과학적 연구를 행한 바 있는 경북대의 김화식 탁연빈교수의 연구논문에 의하면 20년전 국내 생존 삽사리는 50마리 정도였다고 한다. 두 교수는 이들중 비교적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보호해야 해요."실제로 새의 보호는 시급한 숙제이다. 전 세계적으로 11%(약 1천종)의 새가
멸종
위기에 있는 것이다.-그렇다면 새들을 보호하기 위해 어떤 대책을 마련해야 할까요?"우선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주어야 해요. 그리고 번식지 도래지를 마련해 주어야 하지요. 어쨌든 이제는 법에 의존할 ... ...
생물의 명멸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아니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인가? 화석을 통해 산출한 통계적인 분석에 따르면 대
멸종
은 2천6백만년을 주기로 일어나다고 한다. 그러나 이 자료는 주기설의 손을 들어주기에는 너무도 빈약하다.금년 3월23일. 직경이 1.5마일 쯤 되는 소행성이 지구를 살짝 스치듯이 지나갔다. 그 간격은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암매와 시로미는 나무이면서도 키가 10cm 정도도 안되는 식물이다. 암매는 국제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고산식물로 백록담 부근에서 간간이 볼 수 있엇다고 하나, 지금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시로미는 꽃은 볼품없으나 여름에 까만 열매가 익어 산을 찾는 이의 갈증을 덜어준다. 현재 그 수가 ... ...
없앨 수 없는 것(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살아있는 생명체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만약 그렇지 못했더라면 우리 이미 먼 옛날
멸종
되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플라스틱의 경우 자연계 물질이 아닌 것으로 구성된 부산물이 분해과정에서 생겨날 수 있다. 이것들은 독성이 있고 발암성이며 또는 다른 어떤 유해성이 있을지 모른다.그러면 ... ...
공룡의 죽음-열쇠가 되는 아미노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된다.확신할 수 있는 일일까? 희귀한 균류도 이소발린을 만든다. 아마 6천5백만년 전에
멸종
한 일부 동물들이 지금은 드물지만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던 이들 아미노산을 우연히도 충분히 만들었을지도 모르는 게 아닐까?결코 그렇지는 않다.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고 확신할 수 있다. 생명에 중요한 ... ...
뱀의 천국이 된 「괌」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있다. 이뱀은 주로 나무에 살면서 새나 새의 알등을 먹고 또 아주 대식가여서 새들을
멸종
에까지 몰고 간 것이다. 동물학자들과 괌도 행정당국은 지금 이 탐욕스런 뱀을 제거하는 방법을 여러 가지로 연구하고 있으나 묘안이 떠오르지 않고 있다고 ... ...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골격이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화산활동으로 인한 독가스들이 공룡의
멸종
을 가져왔을 가능성도 다분히 있는 만큼 범세계적으로 확대 적용하는 문제는 많은 연구가 속행되어야 풀릴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동아프리카의 열곡(Rift valley) 일대에는 화산활동이 많이 일어나서 그 일대에는 ... ...
뿔마저 빼야 하는 운명 코뿔소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흰코뿔소(학명은 Diceros simus simus)와 검정코뿔소(학명은 Diceros bicornis)가 있다. 그런데 최근
멸종
된 것으로 알려졌던 흰코뿔소중 북부 아종(亞種)이 보호수렵구에서 발견됐고 그 수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참으로 다행한 일이다.코뿔소의 생김새 중에서 가장 돋보이는 부위는 뭐니뭐니해도 뿔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