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d라이브러리
"
멸종
"(으)로 총 1,277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그당시 시대상황을 반영한 것이 특징. 소행성 충돌 결과 산성비가 내린것이 공룡
멸종
의 원인이라든가, 아니면 소행성 충돌 후 대화재가 발생,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증가, 지구가 온난화됐다는 것들이다.87년에는 이리듐의 발생원인을 하늘이 아니라 땅에서 찾는 설도 등장했다. 영국의 하람박사는 ... ...
과학평론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심지어는 모피까지 가졌던 것으로 짐작된다. 포유동물이 거의 다 된 듯한데 지금은
멸종
되어 버렸다. 현재 살아있는 테랍시드는 완벽하게 포유동물의 특성을 지녔으며 사실 포유동물로 분류된다.그러나 아직도 오리너구리와 가시돋친 개미핥기는 의문으로 남아있다.퀸스대학의 질스 ... ...
멸종
위기에 놓인 거대참치 블루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제기하지 않는다."우리가 그래도 무언가 규제를 할 수 있을 때 할 수 있는 일을 해야한다.
멸종
될 때까지 기다리고 앉아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몬타크 항의 수산물도매업자이자 고깃배의 현장주임인 토미 에드워디스의 말이다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유인하는 이른바 피리사냥을 했던 것이다.이러한 무분별한 포획으로 한때는 노루가
멸종
단계에 이르렀지만 이제는 적극적인 야생동물 보호정책 덕분에 그 수가 늘어가고 있다.수정란의 발육이 지연되고그들의 주식은 나뭇잎 새싹 풀 등이다. 겨울에는 침엽수의 잎도 먹고 가랑잎 도토리 각종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내려간다. 자전속도가 빠르다면 생활주기가 적응이 안되고, 번식을 하지 못해 생물들은
멸종
할 것이다.지구의 크기가 10%정도 작다면?지구의 크기가 지금보다 10% 정도 더 크거나 작다고 해도 지구는 인력의 변화, 이로 인한 공전운동과 기압의 변화 등으로 지구의 환경은 지금과는 엄청나게 달라졌을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유전자들은 완전히 유실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유전자 수준의 다양성 외에 종족의
멸종
도 두드러진다. 이런 경향은 한 지역의 송어를 새로운 지역으로 옮겨놓았을 때 흔히 볼 수있는데 이식종은 토착종과 교배해 새끼를 낳지만 그 새끼는 제대로 번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마지막으로 ... ...
우리의 조상인 실러캔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증명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사실 폐어(肺魚)라는 또 다른 종류의 물고기도 오래전
멸종
되었다고 믿어졌으나 19세기에 이르러 다시 발견되었다. 6마리도 못되는 폐어가 현재 생존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폐어는 원시적인 허파를 가지고서 필요에 따라 공기를 들이켠다. 이들은 소금기 있는 ... ...
멸종
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해외에 빌려주는 판다의 수까지 통제하고 있다.연구소와 동물원간의 주도권싸움도 판다
멸종
위기에 한몫을 하고 있다. 이들 양자는 판다보호에 관한 지식은 물론이고 짝을 지어줘야 할 판다까지도 공유하기는 커녕 숨겨놓기에 바쁜 실정이다.이런 악조건 때문에 지난 20년간 중국 전체에서 겨우 2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하는 중간형태의 생물(시조새 등)에 대해서도 설명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현존하거나
멸종
한 수백만종의 생물들이 모두 이러한 비약적인 진화에 의해 분화됐다고 보기는 참으로 난감하다.엘드리지 자신도 지난 5억년 간의 지층을 조사했지만 중간형태의 생물체를 발견할 수 없었음을 1978년 한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매립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수많은 종의 수많은 개체들이 서식지를 잃고 있다. 개중에는
멸종
되는 종들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유용 동식물의 남획 또는 분별없는 채취도 문제다. 사실 1945년 이전만 해도 동해의 중요한 수자원이었던 왕게, 1960년대까지만 해도 그 흔하던 서해의 참조기나 젓새우는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