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d라이브러리
"
멸종
"(으)로 총 1,2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오염의 실상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PCB는 동물의 성호르몬에 분비에 악영향을 주어, 조류의 경우, 알의 껍질을 얇게 하여
멸종
에 이르게 한다는 보고도 있다. 수질오염으로 인한 상수원의 오염은 또다른 심각한 인간의 건강상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상수원 소독으로 행해지고 있는 염소소독 중 유리된 염소 성분이 오염된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만든 것이다. 생태계의 주인공인 식물과 동물들 가운데는 특산식물과 희귀식물 그리고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이 아직도 적지 않게 남아 있다. 설악산에서 자라는 관속식물(고등식물)은 1985년 현재 1천13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중에는 북쪽으로부터 설악산까지 남하한 눈잣나무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가려지면서 식물들이 죽게되고 그로 인해 먹이 연쇄가 파괴되어 지구상의 생물 4분의3이
멸종
되었다는 것이다. 알라레스의 착상은 매우 과장되어 보이지만 그 이론의 구성과정은 확실한 과학적 추적작업에 기초 하고 있다. 이처럼 지구는 지구외 행성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약 45억년 전 ... ...
인류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다른 행성으로 이주하지 않는 한 인류는 멸망한다. 과거를 돌아보아도 진화의 역사는
멸종
의 역사라고 할만큼 많은 생물이 사라져 갔다. 미국의 진화학자 '심프슨'은 "종의 99%는 절멸했다. 인류가 생존하느냐 멸망하느냐는 1:99의 도박이다"라고 단언했다. 과연 인류 진화의 미래는 이처럼 어두울까 ... ...
소리없는 재앙 20세기말까지 1백만종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야생종의 감소, 재배종의 단순화는 유전적인 개량을 점차 어렵게 하고 있다. 지구의 역사는
멸종
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운석과 혜성 등은 수 많은 생물종을 지구상 ... 전에
멸종
되는 생물도 상당수에 달할 것이다. 특히 남미와 동남아의 열대우림은
멸종
의 온상이 될지도 모른다 ... ...
파괴되는 삼림 벌거벗은 대지는 보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아마존 저지대의 대규모 벌채를 놓고 온대선진국은 대기환경 변화와 특정 동식물의
멸종
우려를 경고하는데 대해 브라질이 잠재자원을 선진국처럼 자기 이익에 맞게 개발할 권리가 있다는 주장으로 맞서고 있는 것은 그 예이다.현재 인도네시아 정부는 인구가 밀집한 '자바'와 '발리' 의 주민 ... ...
종합진단 기로에 선 선택-개발이냐 보존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지질시대의 가장 마지막에 등장한 인간은 훨씬 전부터 지구의 주인이었던 다른 생물들을
멸종
시키고 있다. 인류사회에 의해 점점 무거워지는 짐을 생물권이 앞으로 얼마나 더 견딜 수 있을까 하는 문제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다. 어떤이는 인간은 가속화하는 생물권과 문명의 붕괴과정을 조절할 ... ...
생태계, 소리없이 운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된 것은 4천개를 헤아린다. 물고기가 떼죽음하거나 어떤 종이
멸종
된 호수는 9천개가 넘는다. 이런 현상은 노르웨이 미국 캐나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서독 벨기에 유고 오스트리아의 호수들도 산성화의 시련을 겪고 있다.호수의 물이 산성화되면 ... ...
1백년동안1/6로 줄어 멸·종·위·기·의 호랑이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위한 방안을 토의하는 심포지움이 열렸는데 이곳에서 얻어진 결론도 호랑이의
멸종
예방은 각국이 공동의 보조를 취해야한다는것이다. 호랑이 보호의 어려운점호랑이보호에 가장 어려운점은 호랑이는 광대한 토지를 생활 바탕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인구 증가를 고려할 때 그렇게 ... ...
멸종
위기의 이구아나 도마뱀 대량인공번식에 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이구아나'도마뱀은 중·남미주민이 즐겨먹는 식품으로 너무 잡아버려 이제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닭고기맛과 비슷한 이구아나는 굽거나 쪄 ... 숲 속에서 자라게 하면서 적응력을 살피고있다. 만약 모든게 잘되면 이구아나의
멸종
도 막고 현지인들의 식탁도 보다 풍요롭게 할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