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때문이다.그럼에도 엽록체는 남조박테리아와 여러 면에서 다르다. 세포에서 엽록체를
분리
하면 광합성을 하지 못할 뿐 아니라 형태도 유지하지 못한다. 세포 속에 안주하다보니 자생력을 완전히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게놈도 몰라보게 퇴화했다. 지난 2001년 게놈이 분석된 남조박테리아 아나베나 ... ...
나방이 특정 냄새에 ‘필’이 꽂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꽃 주변의 공기를 모아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화밀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을 하나씩
분리
했다. 나방에는 뇌가 반응할 때마다 ‘뽑뽑뽑’ 소리가 나는 기계를 설치했다.실험 결과 나방의 뇌는 화학물질을 하나씩 맡을 때는 반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담배박각시나방이 좋아하는 털독말풀(Datura wrightii)의 ... ...
수소연료의 실용화 가능성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들기 때문이다. 1990년대 후반 과학자들은 나노물질에서 희망을 찾았다. 수소의 저장과
분리
가 쉬운 가볍고 표면적이 넓은 물질에, 탄소로 이뤄졌으면서 대롱이나 공 같이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가 강력한 후보로 등장했다. - 과학동아 2009년 02월호 ‘휴대전화에서 차세대 ... ...
제26회 기상사진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부분에서 나타난 것처럼 구름입자는 태양광선을 반사 또는 회절시켜 아름다운 빛으로
분리
한다. 하지만 적운의 하단부는 빛이 모두 흡수되기 때문에 어둡게 보인다.히말라야의 구름 서웅 (2007년 1월 17일)서웅 씨는 네팔의 쿰부히말에 있는 로부체를 등반하던 도중 구름을 걸치고 있는 해발 7855m의 ... ...
분석과학으로 노벨상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용해 세포까지 훤히 들여다보는 전자현미경, 단백질 분자에 전기를 걸어 크기대로
분리
하는 전기영동장치 등이 있다.우리나라는 대부분의 분석 장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분석 장비는 대부분 고가이므로 외화 유출도 심각한 상황이다. 그래서 일반 대학원에서는 분석 장비를 이용해 ... ...
[생물]유전법칙의 기본, 멘델부터 모건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존재한다는 것이 일치한다. 또 멘델은 대립 유전 인자가 각각 다른 생식세포에
분리
돼 들어간다고 했는데, 실제로 감수 분열에서 상동염색체가 접합 후 나뉘어 각각 다른 생식세포로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한 형질을 표현하는 대립 유전인자는 수정을 통해 다시 쌍을 이룬다고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망원경에서 넓은 영역을 감시하는 부분과 메가번개가 발생했을 때 확대해서 찍는 부분을
분리
한 데 있다. 즉 일정한 영역을 감시하고 있다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가 나타나면, 망원경 전체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망원경 안에 있는 반사경이 순식간에 각도를 바꿔 메가번개가 발생한 곳을 ... ...
산소이온 빔으로 광물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총을 쏴 ‘시간의 부스러기’를 얻는 셈이다. 질량분석기에서 이온들을 질량에 따라
분리
한 뒤 측정한 동위원소 비와 반감기로 절대 연대를 측정하는 이후 과정은 팀스와 같다.지난해 3월 서울대 조문섭 교수팀은 남한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을 발견해 국내 발간 영문학술지 ‘지오사이언시스 ... ...
[화학]분자의 모양과 극성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값이 클수록 결합의 극성이 크다. 쌍극자 모멘트는 크기가 같고 부호가 다른 두 전하가
분리
되어 있을 때 두 전하 사이의 세기와 거리를 곱한 벡터량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극성 분자에서 분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의 전하가 각각 +q, -q이고 두 전하 사이의 거리가 r일 때 쌍극자 모멘트 μ= q×r로 ... ...
진화론 논쟁 감상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그 결과 머리와 목구멍의 구조가 변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호흡계와 소화계가 점차
분리
됐다. 즉, 처음에 길게 이어져 있던 호흡계와 소화계의 겹친부위가 점차 짧아져 마침내 하나의 교차점으로만 남게된 것 이다. 이것이 인간을 포함한 고등 척추동물에서볼 수 있는 호흡계의 기본 구조이다.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