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결국 유전자를 모두 잃어버렸다. 그들은 미니염색체 양 끝에 테트라히메나 DNA에서
분리
한, 염기서열 CCCCAA가 반복된 1.5kb(염기 1500개) 길이의 DNA 조각을 붙였다. CCCCAA가 반복된 DNA 조각과 결합한 미니염색체는 효모 세포 안에서 보통 미니염색체보다 더 안정했다.CCCCAA가 반복된 DNA 조각은 염색체가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말뚝과 교각을 하나로 만드는 파일벤트 공법도 주목할 부분이다. 말뚝과 교각을
분리
해 건설하는 일반 공법보다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말뚝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교각 1개당 공사기간을 30일가량 단축시킬 수 있다.기존에는 교각을 지지하기 위해 말뚝을 여러 개 사용했다. 말뚝의 수가 많은 만큼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있어 다른 미네랄 성분은 거의 없다. 정제염 또한 바닷물에서 나트륨 이온과 염소 이온을
분리
추출해서 만든 거의 순수한 염화나트륨이다. 천일염이라고 해서 모두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호주나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은 대규모 염전에 해수를 가둔 뒤 1~2년에 한 번씩 소금을 ... ...
혈액형 진실게임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보면 O형이 가장 많은 혈액형이다. 혈액을 원심
분리
하면 크게 세포성분인 혈구부분과 액체성분인 혈장으로 나뉜다. 이때 혈장에서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피브리노겐(섬유질) 성분을 제거하면 혈청을 얻을 수 있다. 혈청은 오줌 색깔과 비슷한 옅은 노란색을 띤다.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알아야 한다. 밀의 속껍질은 쌀과 달리 여러 겹의 단단한 층으로 이뤄진 탓에 간단히
분리
할 수가 없다. 알맹이를 상하지 않게 꺼내기가 만만찮아 사람들은 차라리 낟알을 잘게 쪼개어 안에 붙은 밀가루를 채취하는 현재의 다단식 제분방식을 찾아냈다. 즉 밀은 낟알을 크게 부수는 파쇄 공정, 배젓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형사들의 추궁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끝내 대답하지 않는다. 결국 신류는 이들을 서로
분리
된 조사실에 넣은 뒤 ‘죄수의 딜레마’ 상황에 처하게 한다.죄수의 딜레마는 유죄를 인정할 경우 형량이 줄어드는 상황. 공범 중 1명이 범행을인정하고 다른 1명은 범행을 부인할 경우 범행을 인정한 사람은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끊어지지 않는 이유는 글리아딘 때문이다.글루텐에서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을 따로
분리
해 반죽을 만들어 보면 이런 특징의 차이를 명확히 알 수 있다. 글리아딘 반죽은 풀처럼 찍찍 늘어난다. 글리아딘 단백질끼리는 화학결합을 하지 않고 물리적으로만 상호작용해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죽는 것에 비하면 신종 플루의 병원성은 크지 않다”면서도 “증상이 경미한 환자에게서
분리
한 바이러스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테렌스 텀페이 박사팀은 병세가 다른 3명에게서 얻은 신종 플루 바이러스로 동물실험을 했다. 증세가 경미한 아이에서 얻은 ... ...
오감으로 관람하는 체험형 과학전시회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놓치지 말자. 화학관에서는 다양한 원소들의 쓰임새와 구조를 살펴보고 물질의 혼합법과
분리
법을 배울 수 있다. 온실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살펴볼 수 있다. 누에가 고치를 만드는 장면과 장수풍뎅이 애벌레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곤충관도 흥미롭다.박물관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신뢰성을 점검해야 한다는 인식도 나온다.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여재익 교수는 “
분리
제어시스템은 순수 국내 기술인만큼 실전에서 시험해본 적이 없다”며 “예상치 못했던 문제가 생겼을 수 있다”고 말했다.또 다른 전문가도 “각종 장비가 높은 고도를 가정한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