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52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네이처 제공 연구자들은 통로가 수직인 용기 안에 양전자와 반양성자로 반수소를 만든
뒤
운동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절대영도보다 불과 0.5도 높은 영하 272.6도까지 온도를 낮췄다. 그리고 전자기장을 서서히 줄여 반수소에게 자유를 줬다. 만일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운동량의 방향에 ... ...
10년간 방사선원 분실 사고 167건 중 회수는 4건 불과
동아사이언스
l
2023.10.04
태평양으로 출항하는 선박에 실린
뒤
행방을 추적할 수 없었지만 기간이 상당 경과한
뒤
이를 보고했다. 이정문 의원은 “기관 담당자들의 규정 미숙지로 방사선원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분실했는지조차 규명되지 못한 사건들이 비일비재한 상황”이라며 “그러나 원안위는 제대로 된 원인 ... ...
[노벨상 2023] '변방 mRNA연구' 30년
뒤
인 2005년에 결실…15년
뒤
인류 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계획을 들은 와이스먼 교수가 공동연구를 제안한 것이다. 연구에 탄력이 붙고 얼마
뒤
인 2005년 이들은 mRNA 치료제가 유발하는 염증 반응을 없애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카리코 교수가 mRNA 백신 개발 연구를 시작하고 약 30년만이었다. ● 변방의 연구가 노벨상으로 이어져…“끈기있는 ... ...
[노벨상 2023] "mRNA백신으로 코로나19 사망 줄여"...개발 주역, 생리의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3.10.02
바꿀 것으로 전망된다. 노벨상 수상자들이 대체로 논문 발표 후 20~30년이 지난
뒤
노벨상을 수상한다는 점에서 이번 수상자들의 단기간 내 수상도 주목된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mRNA는 아직 평가의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점에서 빨리 받았다“며 ”하지만 짧은 기간 발생한 임펙트 ... ...
"노벨상 받은 과학자, 수상 후 연구 생산성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3.10.02
실적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실적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노벨 수상자들은 상을 받은
뒤
대략 기존과 비슷한 수의 논문을 발표했지만 인용 횟수는 크게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맥아더상 수상자들은 논문 발표 수는 약간 늘어났지만 인용 횟수는 증가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두 상의 수상자 ... ...
논문 발표 후 노벨상 수상까지 30년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2
수십 년 전 연구가 빛을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노벨 재단은 과학자가 사망한
뒤
상을 주는 ‘사후 수상’을 금지하는 규정을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논문 발표와 수상까지의 기간이 늘어나는 것은 저명한 과학자들이 상을 놓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
[주말N수학] '일타 강사'가 털어놓은 인생, 수학…그리고 '본질'
수학동아
l
2023.10.01
하곤 해요. 이런 쓴소리가 담긴 영상을 모아놓은 채널도 있어요. A. "성인이 된
뒤
에 어른들한테 큰 배신감을 느꼈거든요. 제 수업을 듣는 학생은 일찌감치 현실을 깨닫고 자신의 인생을 준비했으면 했어요. 주변 어른이 대학만 가면, 어학연수만 가면 취직만 하면 행복할 거라고 이야기를 하잖아요. ... ...
[주말N수학] 우리는 왜 '미분'에 관심이 생겼을까
수학동아
l
2023.09.30
중근을 가져야 합니다. 데카르트는 이 작업을 통해서 접점을 찾고 법선의 기울기를 구한
뒤
법선과 수직인 접선의 기울기를 얻었지요." 수학동아 제공 미적분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아이작 뉴턴과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 위키미디어 제공 Q(수학자). 수학사를 이야기할 때마다 아르키메데스, ... ...
감염병 취약한 고령 부모님 위한 ‘효도백신’ 3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23.09.29
가 백신을 접종한다. 젊은 사람이라도 면역저하 상태 등의 경우에는 13가 백신을 접종 1년
뒤
에 23가 백신을 접종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두 가지 백신을 64세 이전에 접종했다면, 65세 이후에 23가 1회 추가 접종을 권고한다. 성인에게 13가 백신이 접종 가능해진 2012년 이전에 23가 백신부터 맞은 사람들이 ... ...
추석 성묘·등산시 뱀에 물린 부위 "너무 꽉 묶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9.28
손가락 혹은 발가락이 다치거나 절단되었을 경우 먼저 적당한 힘으로 지혈을 한
뒤
절단된 부위를 물로 씻은 다음 찬물에 적신 수건으로 싸서 병원을 빨리 찾아야 한다. 양 교수는 "절단된 부위를 얼음과 함께 넣어 오는 경우에는 조직 세포에 문제가 생겨 접합수술이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얼음에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