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523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발디 ‘사계’ 2050년 버전...AI가 재창작하니 ‘어둡고 혼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계절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명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 심각한 기후변화를 겪은
뒤
미래의 ‘사계’를 인공지능(AI)이 음악으로 표현하면 어떨까. 2050년 대전광역시 기후 예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발디의 사계를 재창작한 제693회 문화행사 ‘사계 2050-대전’ 공연이 22일 저녁 KAIST 대전 본원 ... ...
아기 울음소리 들은 어미 쥐 모성행동은 어디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사실도 발견했다. 대신에 감각정보를 받아들인
뒤
다른 뇌의 부위로 전달하는 시상하부
뒤
쪽을 통해 활성화가 이뤄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같은 옥시토신의 작용이 시간이 지나도 어미 쥐가 새끼 쥐를 계속해서 보살필 수 있도록 모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모성과 ... ...
정밀한 유전자가위로 희귀 난치 백혈병 치료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s)라고 불리는 암 표적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세포를 조작한
뒤
재주입하는 방식이다. 이 치료법은 일부 유형의 백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를 보였지만 희귀·난치성암인 T세포 급성림프모구 백혈병을 치료하진 못했다. CAR-T 세포를 더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 ...
"작년 의료 방사선 종사자 피폭량, 한도 기준의 1/100 이하"
연합뉴스
l
2023.09.21
연합뉴스 제공 방사선사와 의사 등 의료 방사선 종사자들의 지난해 연간 평균 피폭선량이 한도 기준의 100분의 1 미만으로 유지된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 ... 방사선사가 0.82mSv로 가장 높고, 의사 0.28mSv, 간호조무사 0.24mSv, 치과위생사 0.13mSv 순으로
뒤
를 이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R&D예산 삭감 여파...내년 젊은과학자 신규 연구과제 예산 0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9.21
전망된다"며 "1인 1과제 체제로, 과제를 수주하지 못하는 연구자수가 폭증하면서 3년
뒤
에는 절반의 연구자들만이 연구비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현재 예산안로 끊어져버린 기초연구 사다리가 이어지고 기초연구 생태계가 유지되기 위해선 감액이나 동결이 아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에 걸리지 않는 '이 동물'의 장수 비결
2023.09.20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부정적인 생리 효과를 생각하면 반가운 변화는 아니다. 수십 년
뒤
미래에 배아를 대상으로 게놈 편집이 일상화된다면 인간의 HAS2 유전자 발현을 높이고 분해 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조작을 통해 암에 잘 안 걸리고 천천히 늙는 신인류가 나오지 않을까. ※ 필자소개 ... ...
[과기원NOW] KAIST, 빛의 화가 김인중 신부 ‘빛의 소명’ 특별 전시
동아사이언스
l
2023.09.18
입체감으로 색을 드리운다. 김인중 신부는 서울대 미대 회화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한
뒤
1969년 스위스 프리부르대학으로 떠나 도미니코 수도회에 입회해 사제가 됐다. 스위스 일간지 ‘르 마땡’에서 세계 10대 스테인드글라스 작가로 선정되며 유럽 화단에서 ‘빛의 화가’라는 칭호를 얻었다 ... ...
인간 눈처럼 색 구분하는 '인공 망막'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는 인공 시각회로 플랫폼을 개발했다. 사람의 눈이 빛을 감지한
뒤
시신경을 통해 뇌로 신호를 보내는 과정을 모사한 시각신호 전달 모델이다. 외부에서 들어온 빛이 망막에 맺혀 상을 형성하면 시신경은 이 신호를 뇌로 전달한다. 사람은 이를 '본다'고 인식한다. 이때 사물의 ... ...
KAIST 역대 최연소 교수 탄생…99년생 한수진 씨
동아사이언스
l
2023.09.17
수리과학과 조교수로 임용된 최서현 씨였다. 한 교수는 만 16세 때 검정고시를 통과한
뒤
2014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 진학했다. 이 대학에서 전지공학 및 컴퓨터과학, 응용수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2016년 졸업했다. 2017년부터 지난 6월까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에서 석박사 ... ...
[레디!퓨전] 핵융합로 '지원군' 자처한 日 스타트업 '교토퓨저니어링'
동아사이언스
l
2023.09.16
다이스케 부사장은 “플라즈마 코어에 초점을 두는 ITER 프로젝트는 핵융합로가 완성된
뒤
어떻게 열을 추출할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며 “교토퓨저니어링은 열 추출, 연료 사이클 시스템 구축 등을 연구하고 유니티를 통해 실질적인 구현을 이룰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