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52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래가는 '듀얼이온전지'로 전기차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바인더를 적용한 듀얼 이온 전지는 3500여 이상 충 ·방전을 반복한
뒤
에도 우수한 성능을 유지했다. 2분 이내에 원래 전지 용량의 88%가 충전되는 등 급속 충전도 가능했다. 연구를 이끈 박 교수는 "듀얼 이온 전지는 지구상에 풍부한 흑연을 사용하기 때문에 리튬 이온 전지에 ... ...
"과기정통부 감사권한 내려놔야...연구현장 '이중 감사' 여전“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박 의원실은 “국정원이 감사를 통해 별다른 혐의점을 발견하지 못했음에도 며칠
뒤
과기정통부가 동일한 의혹에 대해 또다시 중복감사를 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NST감사위원회가 무용지물로 전락한 주요 원인은 출연연에 대한 기관의 감사 권한이 각각의 법에 따로 규정돼 있기 ... ...
현직연구원 98.1% "R&D예산 삭감 바람직하지 않아…연구 카르텔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이공계 기피 현상(13.1%)',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부정적 이미지 제고(6.3%)'가 그
뒤
를 이었다. 응답자의 0.2%는 '위 5가지 모두 문제'라고 답했다. R&D 예산 삭감 해결 방안으로는 36.8%가 '예산 삭감 전 혁신본부 원안(2% 증액안)을 그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권에 따라 R&D 정책 바뀌지 ... ...
DNA 복구 중 결함·돌연변이 막는 ‘결정적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MRN 단백질 복합체가 만든 DNA 틈에 PCNA 단백질이 신속하게 결합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
ATAD5에 의해 DNA에서 분리됨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연구팀은 ATAD5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복구 결함과 게놈 불안정성이 나타나는 메커니즘도 규명했다. 정제 단백질을 이용한 ... ...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하려면, 센터 내 더 더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이를 위해 컴퓨터에서 생성된 뜨거운 공기가 물로 차갑게 만든 코일을 지나 냉각된
뒤
다시 센터로 이동하는 냉각 시스템을 유지한다. 냉각 과정에서 뜨거워진 물은 코일로 다시 전달되기 전에 냉각기나 ‘자유 냉각’ 과정을 통해 시원해진다. 냉각기는 에어컨과 같은 원리로 작동하는 ... ...
로봇과 같이 일하면, 인간은 나태해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업무를 수행했으나, 판다가 결함을 잘 찾아내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반복적으로 확인한
뒤
에는 덜 꼼꼼하게 살피는 경향을 보인 것이다. 참가자들은 셀프보고에서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였다고 답했지만, 연구팀은 무의식적으로 로봇에게 의존하며 일에 소홀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 ...
두 번 유찰된 슈퍼컴 6호기, 성능 대폭 낮춰 3차 입찰 진행
동아사이언스
l
2023.10.22
KISTI)가 운영하는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의 모습. 누리온의
뒤
를 잇는 슈퍼컴퓨터 6호기는 내년 도입될 예정이다. KISTI 제공 월등한 연산능력으로 첨단산업을 견인할 슈퍼컴퓨터 6호기의 도입 목표치가 크게 완화됐다. 앞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올해 두 차례에 걸쳐 입찰 공고를 ... ...
[주말N수학]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는 친환경 로켓 발사
2023.10.21
항공 스타트업인 스핀런치는 진공 상태인 대형 원심분리기 안에 발사체를 넣은
뒤
빠르게 회전시켜 던져서 발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SpinLaunch 제공 우주를 향한 발사라고 하면 대부분 강렬한 섬광을 뿜는 ‘로켓’을 떠올린다. 우주에 무언가를 보내기 위해 지구의 중력을 박차고 오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윤리 논란 넘나드는 인공 인간배아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10.21
유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초기 줄기세포는 배아 상태로 무사히 발달했다. 14일이 지난
뒤
2500개의 세포를 갖추고 있었다. 크기는 0.5mm까지 자라났으며 뇌와 피부, 근골격계, 소화순환계의 초기 구조가 모두 관찰됐다. 막달레나 괴츠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 연구팀은 이보다 앞선 6월 미국 ... ...
AI가 동물소리 분석…생물 다양성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각각 1.5m와 30m 높이의 나무에 녹음기를 설치하고 매일 10분 간격으로 자료를 수집한
뒤
AI가 학습하도록 했다. 이와는 별개로 동물 112종이 생산한 115개의 울음소리를 학습시켰다. AI에 음향자료를 학습시키는 데는 합성곱신경망(CNN) 기술이 사용됐다. 인간의 신경을 본떠 만든 CNN은 자료에 담긴 분석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