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상자 6명을 만나다! 24시간이 모자란 시상식 전 날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그때 호텔 로비에서 봐요~!”라면서 사라졌어요. 그렇게 진짜 밤 9시가 됐고, 혹시 우리를 잊은 게 아닌가 조마조마했는데, 일찍이 와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인터뷰는 말해 뭐하게요~. 오랜 시간 모든 질문에 당차게 답변을 해 줬답니다 ... ...
- [필즈상 인터뷰 ➍]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더욱 중요한데, 수학이 그 도구 중 하나”라고 수학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수학이 우리에게 던져진 정보를 비판적이고 분석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수학을 가르칠 때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가 이해되지 않는다”고 덧붙였어요, 실수를 통해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네더월드 정복하기 2. 보스 몬스터 잡고 보스 몬스터 잡고 신호기 만들자! 신호기 만들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피라미드는 n - 1층 피라미드에 필요한 블록의 개수에 (2n + 1)2만큼 더하면 되는 거지요. 우리는 피라미드를 4층까지만 만들면 되는데요. 규칙에 따르면 3층까지 필요한 블록의 개수는 83개이고, 4층을 만들기 위해선 맨 아래층에 9×9=81개의 블록이 더 필요하므로, 164(=81 + 83)개가 필요하답니다 ... ...
- [가상인터뷰] 박테리아씨, 제 눈에 당신이 보여요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수 있는 셈이죠. 저를 연구한 장-마리 볼란드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박사님은 우리를 발견한 게 “에베레스트만큼 큰 인간을 만난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어요. 너무 커서 박테리아가 아닌 줄 알았어요. 저를 처음 발견한 올리비에 그로 프랑스 안틸레스대 교수님도 그렇게 ...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본 개미들이 일상 속에서 속속 드러났죠. 생각보다 우리 주변에는 개미가 많아요.”우리 주변에서 가장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곤충이 바로 개미죠. 숲곰개미 님에게 이 점은 큰 매력이었습니다. 그는 “언제, 어느 나라, 어느 지역에 가든 개미를 만날 수 있다”며 “게다가 땅속에서 주로 사는 ... ...
- [JOB터뷰] 모두가 진실해지는 이곳,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김희송 법심리실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5~10% 정도지요. 따라서 결과를 내면서 실수할 수 있다는 사실을 항상 염두에 둡니다. 또한 우리 범주에서 판단을 내릴 수 없을 땐 섣불리 판단하지 않고, 판단을 못 내린다고 사실대로 말하기도 합니다. Q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범심리실을 꿈꾸는 독자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인지합니다. 모든 파장의 빛을 반사하면 흰색을 띠고요. 한편, 빛이 물체를 통과하면 우리는 물체를 투명하다고 여겨요. 유리처럼 투명한 물체는 빛의 대부분을 통과시킨 거예요. 예를 들어 사과는 빨간색의 빛을 반사하기만 해서 불투명한 빨간색으로 보여요. 눈이 흰색을 띠는 이유는 모나게 생긴 ... ...
- [스승이 말하는 허준이 교수] 겸손하고 따뜻하지만, 연구 앞에서는 밤잠 설치는 완벽주의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사람의 조력이 있었습니다. 한국에서 자랐고 교육받는 동안. 우리의 세금으로 교육했고 우리 시스템을 발판으로 도약했습니다. 서울대와 한국 수학계의 연구 역량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허 교수가 있었을까요? 오늘의 허 교수의 성공은 앞으로 한국 수학계가 배출할 수많은 성공 사례의 시작이 될 ... ...
- [활동지] 그래프 채색 문제부터 케플러의 추측까지, 필즈상 수상자 연구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교수는 상상하기 어려운 공간인 8차원과 24차원에서의 케플러의 추측을 해결했어요. 우리는 3차원 공간에서 과일을 쌓아 비아조프스카 교수의 연구를 엿봅시다 ... ...
- [지구를 위한 아름다움] 작지만 큰 ‘용기’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위해 소비자가, 기업이 고민해야 할 차례다. 플라스틱 폐기물을 분리배출할 때 우리는 보통 선별장까지를 상상한다. 하지만 분리배출된 폐기물이 왜 모두 재활용되지 않는지 알려면 그 이후 단계를 살펴야 한다. 선별장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거나 버리는 기준은 이후 단계에 따라 결정되기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