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식물도 기후변화에 반응하는 중! 식물들의 시간표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종류를 말한다.
우리
나라 식물의 시간표는 얼마나 달라졌을까?2009년과 2018년 사이
우리
나라의 낙엽활엽수 20종의 식물계절에 일어난 평균 변화를 시간표로 나타냈다.●자료: 국립수목원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10년 만에 사라진 ‘게임 셧다운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부산 창진초 교사)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
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꼽은 초등수학 내용을 달콤하게 바꿔 드려요. 이번 주제는 ‘각과 각도’예요.
우리
주변에서 다양한 각을 찾아보고 각도의 계산을 쉽게 하는 비법을 그림으로 알아봐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Part1.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 ...
[별별 우주 기네스] 가장 가까운 별과 가장 먼 별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되나요? 태양 다음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별은 센타우루스 자리의 별 ‘프록시마 센타
우리
’예요.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4.2년 떨어진 거리에 있어요. 우주 기네스 2 지구에서 가장 먼 별 ‘GN-z11’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별도 알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인류가 관찰한 별 중에서 가장 먼 곳에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기준파)이 만나며 생기는 간섭무늬를 필름에 기록한 뒤, 원래 물체의 입체적인 영상이
우리
눈앞에 나타나게 하는 거랍니다. pH(수소 이온 농도) ‘pH’라는 용어를 들어 봤나요? 수소 이온의 농도를 의미하는 pH는 용액 1L에 얼마나 많은 수소 이온이 존재하는가를 뜻해요. 용액이 얼마나 산성, ... ...
[엄마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글쓰기 능력, 예술적 창조성, 느긋함”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열심인 편이다. 모르긴 해도 역대 필즈상 수상자 중 가장 평범한 생활인이 아닐까 싶다.
우리
는 준이가 상을 받을 때마다 참 운이 좋다고 말하곤 했다.상복이 있다고. 그런데 사실 좋은 친구들, 좋은 멘토들을 둔 것보다 더 좋은 운이 있을까? 이인영 (허준이 母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②]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그는 골드문트였다. 내 안에 아직도 무언가 특별한 것이 있다면 그에게서 왔을 것이다.
우리
가 함께 뒷산에 오르던 날에서 한참 멀리 왔다. 내가 아는 모습만큼이나 모르는 모습도 많아졌을 것이다. 수학도 예술처럼 푹 빠져 했으리라 추측해 본다. 준이가 이 글을 읽는다면, 수학도 예술이라고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들어도 알 정도의 주요 난제들을 겁 없이 붙잡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풀어낸 허 교수는
우리
시대 청출어람의 사례로, 후대의 멘토로오랫동안 기억될 것입니다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비극입니다. 지구에 있는 모든 사람이 전쟁을 끝내기 위한 행동을 하면 좋겠습니다.
우리
모두 알고 있지 않나요? 굉장히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것을요. 전쟁은 개인적으로도 고통스럽지만, 크게 보자면 모두에게 비극이에요. 전쟁을 멈춰야 비극이 끝납니다. Q. 학창시절에 수학을 잘 했나요? A. ...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 수리물리학의 살아있는 전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증명했습니다. 예상보다 풀기 어려웠지만 포기하지 않고 풀었다고 해요. 리브 교수는
우리
나라 나이로 91세이지만 고체물리학에 관해 아직도 연구하고 싶은 내용이 많다고 하네요. 호기심의 끝이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