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있는 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했다. 물론 처음에는 이런 활동들이 기계공학을 향한 일관된 방향이라기보다는 갈팡질팡한 경우에 가까웠다. 물리인증제와 정보올림피아드, 화학 관련 활동 등 닥치는 대로 참여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기계공학 분야에 관심이 집중됐고, 기계공학과 관련된 ... ...
- [헷갈린 과학] 호주의 대표 귀요미, 쿼카 VS 웜뱃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호주의 동남부 해안가와 태즈메이니아 섬에 주로 살고 있지요. 또 육아낭이 뚫려 있는 방향도 쿼카와 달라요. 웜뱃의 육아낭은 구멍이 엉덩이쪽으로 나 있어요. 두더지처럼 땅굴을 파고 살아가는 웜뱃에게 알맞은 형태지요. 구멍이 뒤쪽으로 나 있기 때문에 엄마가 앞발로 흙을 팔 때도 육아낭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그을 수 있으니, 각 시행마다 무작위로 한 방향을 정해 선분을 긋는 게 됩니다. 매번 어느 방향으로 갈지 종잡을 수 없는 그림이 나오겠지요? 이처럼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설명하는 확률 모델을 ‘확률보행’라 부릅니다. 기체나 액체 속의 작은 입자가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현상을 나타내는 ... ...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유닛을 점대칭 도형★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무게중심에서 각 꼭짓점 방향으로 그은 선으로 정다각형을 나눠서(중심 분할) 삼각형 조각으로 만들어야 한다. 점대칭 도형★ 도형을 대칭점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처음과 합동이 되는 도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으로 ...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방향으로 돌아올 수 있는지 살펴요. 항상 같은 방향으로 돌아올 수 있으면 가향, 반대 방향으로 돌아올 수 있으면 비가향이에요. 가향의 대표적인 2차원 다양체가 구나 원기둥, 원환면이랍니다. 앞에서 소개한 대로 뫼비우스 띠와 클라인 병은 비가향 다양체예요. 아까 클라인 병을 이해하는 데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모두 그 자리에서 최선을 다했지만 정부가 바뀌고 책임자가 바뀌면서 최선을 다한 방향이 틀어져 버린 거죠. 공학하는 분들은 알겠지만, 처음에 각도가 5도만 틀어져도 나중에 굉장히 많은 거리 차이가 나잖아요. 누구 한 사람의 잘못보다는 피할 수 없는 타이밍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없었던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산하 농업생물학연구소, 북한 밭작물 연구소 고구마육종연구실과 함께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고구마를 이용한 북한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북이 머리를 맞댈 경우 일차적으로는 북한 지역에 적합한 고구마 품종을 선발하는 작업부터 진행해야 한다. 이후 무균 묘를 생산해 북한 현지에 ... ...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전환하는 시점에 놓였다. 자율주행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는 상황에서 법은 어떤 방향으로 바뀌어야 할까. 獨 인명 최우선 , 美 핸들 없는 자율차 OK현대인의 모든 생활이 법적 규율을 받는 것처럼 인간이 활용하는 자율주행자동차 역시 법의 규율에서 예외일 수 없다. 더욱이 공상과학(SF) 영화처럼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R100을 움직이는 버튼이 나타난다. 상승과 하강, 전진과 후진, 좌회전과 우회전 등 6개 방향으로 조종이 가능하다. 로봇이 수심 몇 m에 있는지 위치를 심도로 알려주고, 어두운 곳에서는 로봇에 달린 전조등을 켤 수 있으며, 카메라를 위아래로 움직여 원하는 위치를 촬영할 수도 있다. 대회 미션은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및 의약계열의 정원보다 인문, 사회계열의 정원을 늘리거나, 혹은 기존 정원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나갔다. 그 결과 심각한 미스매치가 발생했다. 문제는 이런 미스매치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미 공급과잉이 존재하는 계열로 진학했던 사람이 다시 다른 분야로 전환하는 데 많은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