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모두 그 자리에서 최선을 다했지만 정부가 바뀌고 책임자가 바뀌면서 최선을 다한 방향이 틀어져 버린 거죠. 공학하는 분들은 알겠지만, 처음에 각도가 5도만 틀어져도 나중에 굉장히 많은 거리 차이가 나잖아요. 누구 한 사람의 잘못보다는 피할 수 없는 타이밍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없었던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산하 농업생물학연구소, 북한 밭작물 연구소 고구마육종연구실과 함께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고구마를 이용한 북한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북이 머리를 맞댈 경우 일차적으로는 북한 지역에 적합한 고구마 품종을 선발하는 작업부터 진행해야 한다. 이후 무균 묘를 생산해 북한 현지에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디자인을 적용했다. 저울을 가동할 때 힘이 수직방향 외에 다른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피스톤 실린더, 스프링 가이드 등을 추가했다. 기존의 키블 저울을 똑같이 재현하는 ‘지름길’을 두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도전한 이유가 뭘까. 이 책임연구원은 “나라마다 키블 ...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방향으로 돌아올 수 있는지 살펴요. 항상 같은 방향으로 돌아올 수 있으면 가향, 반대 방향으로 돌아올 수 있으면 비가향이에요. 가향의 대표적인 2차원 다양체가 구나 원기둥, 원환면이랍니다. 앞에서 소개한 대로 뫼비우스 띠와 클라인 병은 비가향 다양체예요. 아까 클라인 병을 이해하는 데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숫자를 비교하는 방식은 아니다. 동일한 사람이라도 촬영할 때마다 빛의 세기, 촬영 방향, 각도 등에 따라 홍채 정보가 조금씩 다를 수 있는 만큼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를 계산해 본인 여부를 확인한다. 해밍 거리는 정보를 구성하는 이진수 두 개에서 동일한 자리끼리 숫자를 비교해 차이가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같은 여러 분야에서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거시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 방향을 제시했고, 중요한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랭글랜즈 프로그램과 관련된 업적으로 필즈 메달을 받은 수학자가 세 명이라는 점이 그 영향력을 보여줍니다. 그럼에도 아직 랭글랜즈 ...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체험할 수 있습니다. 360° 가상현실 영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360° 가상현실 영상은 모든 방향으로 사진을 찍거나 이미지를 만든 뒤, 자연스럽게 이어 붙여 만듭니다. 사방 어느 곳을 보더라도 가상으로 만든 세계가 보이기 때문에 진짜로 가상현실에 와 있는 착각을 일으키지요. 덕분에 노래 가사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분석을 토대로 설계해야 안정적으로 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공간에서 물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려면 물체의 움직임을 3차원 좌표축 위에 나타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사는 3차원 공간에서 기하학이 이용되지 않는 곳은 없다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미래에는 기하의 역할이 더 ...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생성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비리 교수는 “작은 해양생물들이 바다 전체에서 해류의 방향을 바꾸고, 더 나아가 해류를 혼합시켜 결국 해양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8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86-018-0044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및 의약계열의 정원보다 인문, 사회계열의 정원을 늘리거나, 혹은 기존 정원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나갔다. 그 결과 심각한 미스매치가 발생했다. 문제는 이런 미스매치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미 공급과잉이 존재하는 계열로 진학했던 사람이 다시 다른 분야로 전환하는 데 많은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