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지방세포로 흉터 없이 상처 치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없이 흉터를 없앨 수 있는
길
이 열릴까. 미국펜실베니아대 의대 조지 코트사렐리스 교수팀은 상처 난 부위에서 어떻게 지방세포를 생성하는지를 밝혀 ‘사이언스’ 1월 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쥐의 피부에 난 상처가 낫는 동안 근섬유아세포를 지방세포로 리프로그래밍하면 흉터가 줄어드는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 도렘이 피안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진짜 연주회가 열리는 장소로 찾아오세요. 편지 속 문양을 잘 보고 갈림
길
을 선택하
길
바랍니다. 잘못 선택하면 늪지대에 빠질 거예요!” 썰렁홈즈만을 위한 꿈의 무대?!썰렁홈즈가 학교로 찾아가자 넓은 운동장에 무대가 마련되어 있었다.“썰렁홈즈님, 당신은 저의 음악을 들을 자격이 충분해요.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실패 끝에 얻어낸 결실이었다. 시추 엔지니어들은 어제 현장에 도착하자마자 지름이 30cm,
길
이가 19m나 되는 긴 파이프 약 200개를 시추탑에 연결해 해저에 닿을 때까지 계속 내렸다. 새벽 0시 50분쯤 첫 번째 시추를 시도했으나 파도와 해류 때문에 시추 파이프가 계속 흔들려 자리를 잡지 못했다. 배가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114개를 흉내 낸 일본의 ‘겐고로’가 인간에 가장 근접한 휴머노이드 로봇일 정도로 갈
길
이 멀다.동작을 흉내 낼 수 있게 되면, 다음 목표는 감각이다. 현재의 전자의수는 손 끝에 센서를 붙여 압력을 잰 뒤, 측정한 압력에 비례하는 전류를 남아 있는 팔 부위에 흘리는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손끝의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않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국내의 유일무이한 3진법 회로 설계 연구자다.“아직 갈
길
이 멉니다. 3진법 소자가 개발된다 하더라도 이에 맞는 소프트웨어는 아직 이론적인 연구수준을 벗어나지 못했고, 시스템 단위의 아키텍처 설계 또한 지연되고 있습니다. 3진법 소자 개발이 가장 우선이지만 그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드론이나 전기비행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쯤 되면 조금 더 발칙한 상상을 해봅시다.
길
거리에 깔린 무수히 많은 전선과 거대한 철탑인 송전탑도 사라질 수 있을까요?초고전압 송전탑에서 전송하는 수만 W가 넘는 전력을 무선으로 보내는 건 지금으로서는 어렵습니다. 현재 가장 멀리 전력을 ...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비국소적 중력모형은 중력에 양자효과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양자중력에 가까워지는
길
이기도 하다.현재 필자는 비국소적 중력모형 중 하나인 DW 모형을 연구하고 있다(2007년에 처음 나왔다). f(R) 모형처럼 함수의 모양을 조절해 우주상수를 흉내 내는데, 안정된 계라는 게 확인됐고 태양계 검증도 ... ...
Part 6. 특이점 없애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공간에서 각각 척력(암흑에너지)과 인력(암흑물질)으로 작용하는 것이다.물론 아직 갈
길
은 멀다. 한 가지 희망적인 사실은,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기술할 때 리만 기하학이 이미 있었듯 양자중력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수학이 이미 발전해 있다는 점이다. 잘 엮고 다듬는 일이 남았다. 이론의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연구팀이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한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길
을 열었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파 하나만으로 강자성 물질의 성질을 조절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울 방법을 고안했다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14일자에 발표했다.기존 반도체 기술은 ... ...
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90년간 치밀하게 다듬어져 온 빅뱅우주론에 비해 아직 갈
길
이 멀어 보인다. 하지만 빅뱅우주론도 처음엔 사변적 우주론에 지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상기해야만 한다. 관측 기술은 나날이 좋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없었던 거대규모의 우주를 관찰하려는 시도가 이제 막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