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달걀 도둑 ‘에그 머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못 풀면? 에그~, 오다가 꽁꽁 얼어 버릴걸?”다행히 문제를 맞히고 스키를 타고 빙판길을 달려 ‘에그 머니나’가 살고 있는 마을에 도착한 썰렁홈즈. 그때, 건물 옥상에 있던 에그 머니나가 큰 소리로 말했다.“에그, 그렇게 급하게 들어가면 안 될걸? 이 건물 엘리베이터는 단 한 층에서만 멈출 수 ... ...
- [과학뉴스] 콧물로 간편하게 바이러스 감염 진단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필요 없이 코를 푸는 것만으로 어떤 바이러스 때문에 감기에 걸린 것인지 진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미국 듀크대 응용유전학정밀의학센터 제프리 긴즈버그 박사팀은 콧물 속의 특정 단백질을 이용하면,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를 알아낼 수 있다고 ‘e바이오메디슨’ 2월 22일자에 발표했다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미궁에 빠진 셈입니다. 모든 것을 알고 있는 복제 전문가는 문제 하나를 남기고 그 길로 성을 떠나버렸습니다. 왕자는 방에 갇힌 채 고민에 빠졌습니다.자아를 잃은 왕자의 확률 계산잠에서 깨어나 자신의 정체마저 헷갈리는 왕자는 복제 전문가가 던진 주사위가 홀수 눈이 나왔을 확률을 구해야 ... ...
- 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시도했을 때 결국 패할 확률이 아주 높은 두 가지 게임을 교대로 하면 결국 게임에서 이길 수 있다’는 내용이다.인생의 정답은 없다컴퓨터가 사람의 생각과 습관을 파악하는 수준이 되면 이런 게임이 등장할지 모른다. 게임 서버에 접속하면 컴퓨터가 조종하는 캐릭터가 상자 A와 B를 보여준다. 상자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송풍기 5대를 작동시킨다.바람이 모든 방향에서 불 때를 고려해야 하는데, 선풍기를 옮길 수는 없으니 건물 모형을 360° 회전시키는 것이다.바람에 대한 안전성을 검사할 때는 건물 주변의 건물이나 지형까지 모두 고려한다. 보통 건물 높이의 4배 정도 되는 거리 안에 있는 조형물이 대상이다. 201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담백하게, 그렇지만 존경과 존중의 태도를 최대한 담아 말할 것이다. 나는 등교할 때마다 길을 돌아 하천 가로 가서 둑 공사하는 것을 보았고, 공사 완료일 예정 간판이 붙고, 공사 진척률이 표시되는 것을 살펴 보았다.마침내 둑의 보수가 끝났을 때, 나는 그 다음날을 그녀에게 말하는 날로 정했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 4화 엄마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시끄러. 갑자기 생각이 안 나서 그래.”“오늘 키워드는 BOY고, 키는 F야. 거기까지 가는 길에 잊어먹지 마라.”납치범들의 대화가 끊기고 발걸음 소리가 둘로 나뉘었다.하림은 재빨리 숨어 있던 곳에서 나왔다. 한 명은 하림이 갇혀 있던 곳으로 다른 한 명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 하림은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준이 낮은데다 노동 환경 자체가 너무나 열악했기 때문에 사실상 기술개발에 참여할 길이 없었을 수도 있죠. 한경희 교수는 “한국 여성이 과학과 기술에 미친 영향은 사료도 거의 없고 연구하려는 사람도 적다”며 “특정 인물의 공로를 찾기는 더욱 어렵다”고 말했습니다.1960~1970년대 여성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번 화에서는 적응과 자연 선택을 이야기할 때 사람들이 가장 쉽게 저지르는 오해 하나를 짚고 넘어간다. 바로 적응에 대해서다. 먹잇감을 앞에 두고 태연히 자는 ... 기능하게 한 그는 ‘적응과 자연 선택’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나는 자연 선택 이론이 빛이요, 길임을 확신한다(280쪽) ... ...
- 2017 태국 탐사대 달콤한 맛과 향의 도시 지난 2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태국에서 가루다는 봉황을 의미한다. 탐사대원들은 ‘왓 포’에서 무려 46m 길이의 금 빛 부처님 와상을 보고 경이로운 모습에 입을 다 물지 못했다. 유예린 탐사대원은 “사원에 있는 스님들이 신발을 신고 있지 않아 궁금해 물어보 니 지렁이와 개미 같은 작은 생물을 밟지 않기 위해서라는 말을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