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주사위를 올려놓는다. 이때 6은 위쪽, 4는 앞쪽, 5는 오른쪽, 2는 왼쪽을 향하게 둔다.길을 찾는 방법은 간단하다. 주사위 위쪽의 숫자가 상하좌우에 있는 칸의 숫자와 같으면, 그쪽으로 주사위를 90° 굴려 움직인다. 단 상하좌우에 별이 나타나면 주사위 숫자와 상관없이 별칸으로 갈 수 있다. 이런 ... ...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놓아 봐요. 여전히 포개지는 점이 있을까요? 포개지는 점이 생길 수 없게 모나리자를 구길 수 있을까요?네덜란드의 수학자 라위트전 브라우어르는 모나리자를 어떻게 구겨도 원본 위의 점과 복사본 위의 같은 점이 포개지는 경우가 반드시 있다는 것을 증명했어요. 그래서 이 이론을 ‘브라우어르의 ... ...
- [과학뉴스] 항공모함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움직이는 해양군사기지’입니다. 규모와 전투력이 어마어마하죠. 칼 빈슨함은 길이 330m, 폭 77m로 축구장의 약 3배 크기이고요, 유사시 바로 투입할 수 있는 항공기 75대를 싣고 최고 시속 56km로 달릴 수 있습니다.심지어 항공모함 한 대가 움직이면 수 척의 이지스 순양함, 이지스 구축함, 핵추진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결정돼버린다. 즉, 원래 정보를 알 수 없게 된다. 정보를 양자중첩을 이용해 지폐에 새길 때 이 두 가지 방식을 랜덤하게 섞어 쓰면, 어떤 방식으로 양자정보를 썼는지 몰라 명확한 수를 확인할 수 없다. 양자컴퓨터도 풀 수 없는 양자지폐 엄청나게 빠른 양자컴퓨터가 등장하면 양자암호도 풀 수 ...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새로운 것은 위험하다’는 심리를 통해 생존 확률을 높였다. 출근할 때 항상 같은 길로만 다닌다거나, 식당에서 매번 비슷한 메뉴를 고르는 것이 그 예다. 결국 평범한 사람들도 일상생활 속에서 크고 작은 강박적인 습관을 누구나 다 갖고 있다.권 교수는 “일상생활에서 떠오르는 침투사고가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모두 이해하고 있었을 것이다. 한숨이 절로 나왔다. 도대체 누굴 가르치겠다고 내가 거길 갔던 거지?“서두를 것 없어.”유리가 말했다.“급할 것 없잖아. 시간도 많고, 세상도 많고, 너도 많으니까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떠날 일만 남았네요. 학업과 업무 등 여행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를 훌훌 털고 떠날 수 있길 바랍니다. 참, 생각나시면 과학동아 카톡에 인증샷 한 장 남겨주시는 센스를! + 더 읽을거리A theoretical foundation for multi-scale regular vegetation patternsSliding Rocks on Racetr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2N017‘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2016.3)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3N03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예전과 달라진 공간의 모습도 바로 가려낸다.전략 1 ‘내 위치’를 먼저 확인한다길을 찾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일단 내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한다. 뇌에는 이렇게 내 ‘위치’를 담당하는 세포가 있다.대뇌의 좌·우 측두엽 안쪽에 깊숙이 자리한 해마는 CA1에서 CA4까지 네 가지 부위로 이뤄져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학문을 어떻게 다룬다는 말인가?”라고 물었다. 이 시절 수학을 좋아한 여성들에게 고생길이 얼마나 창창하게 놓였는지 느껴지는 말이다.그러나 인간의 호기심은 끝이 없어서 이런 어두운 전망도 수학을 향한 ‘언니’들의 열정을 막지는 못했다. 여성인 데다 흑인인 ‘히든 피겨스’의 주인공은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