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쑥쑥키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것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잘못
된 자세 2구부정한 어깨와 삐딱한 자세는 키를 잡아 먹어요.
잘못
된 자세는 뼈가 곧게 자라는 것을 방해한답니다. 또 목뼈와 척추가 곧아야 머리로 올라가는 혈액 흐름이 좋아져요. 책상에 앉아 있을 때나 컴퓨터를 할때, TV를 볼 때도 바른 자세로 앉으세요뒹굴뒹굴~ ... ...
거울여왕 '에또 반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배열하면 쉽게 풀리지.” 썰렁홈즈의 정답 거울여왕의 특별한 선물다무러는 자신의
잘못
을 깨달았다. 그리고 앞으로는 절대 장난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친구를 구출하기 위해 거울 속으로 뛰어든 썰렁홈즈의 따뜻한 우정에 거울여왕은 감동했다. 그래서 조그만 선물을 주었다. 아니 조…, 조금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발생한 대한항공 화물기 추락사고의 원인이 조종사가 고도 1500m를 1500피트(490m)로
잘못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힌 바 있다.중국은 진시황 이후 오랫동안 척관단위를 써오다가 1985년 국제단위계를 도입해 현재 성공적인 정착단계에 들어선 상태다. 과일이나 국수도 저울에 달아 g단위로 판다. 일본은 1 ... ...
이온결합과 공유결합의 연속성에 대한 오해?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기체의 압력에 상관없다는‘돌턴의 부분압력 법칙’이 자연스럽게 도출된다. 가정이
잘못
됐지만 거기서 유도된 법칙은 옳았던 재미있는 사례다. 부분압력 법칙의 예를 들어보자. 산소와 질소가 1:4로 섞여있는 공기를 풍선에 불어 넣었을 때 압력이 1기압이라고 하면 산소의 부분압력은 0.2기압이고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과정(pp순환)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는 이 사실을 직접 연구해 밝혔고
잘못
된 처음 주장을 수정했다. 80세가 넘어서도 블랙홀에 이르는 과정을 밝히고 우주에 존재하는 블랙홀 수를 계산해 발표했다. 그는 세상을 떠나기 2년 전인 96세 때까지 논문을 쏟아냈다.▼관련기사를 계속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때문이다.1707년 이탈리아 시실리섬 근처에서 영국 해군의 배 4척이 안개 속에서 위치를
잘못
파악하고 암초에 부딪쳐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2000명 이상의 병사가 목숨을 잃었다. 그 뒤 경도 문제에 관한 대책을 촉구하는 상인과 뱃사람의 탄원서가 웨스터민스터 궁전에 빗발쳤다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계산은 잘하지만 물리적인 직관이 없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치를
잘못
입력해 계산한 결과 지구 반지름이 10m로 나와도 오류로 판단하지 못한다. 또 컴퓨터는 ‘정부의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은?’‘이번 휴가 비용은 어느 정도일까?’와 같은 문제를 스스로 풀지 못한다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별로 상관없다.방송 출연으로 들떠 있던 무기자가 마음의 상처만 입었다. 하지만 자신의
잘못
된 생활습관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법! 객관적으로 자신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아니었는지. 그래도 이제 무기자는 방송출연 안한다고 한다 ... ...
손 씻는 행위가 죄책감 덜어 준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응한 데 반해 손을 씻은 사람은 41%만 요청에 응했다.연구팀은“손을 씻은 사람은 자신의
잘못
을 속죄할 필요를 덜 느꼈기 때문”이라며“신체의 청결과 도덕적 정결함은 교환 가능할 정도로 가까운 개념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 ...
화산섬 제주도의 보물6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부드럽고 끈적임이 전혀 없어 몸에 달라붙지 않는다. 예전에는 산호 부스러기로
잘못
알려지다가 최근 홍조류가 돌멩이처럼 딱딱하게 굳어서 생긴 홍조단괴로 밝혀졌다. 이런 해변은 세계적으로 희귀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다. 2004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