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팔목의 칩을 스캐너가 읽기만 하면 사소한 개인 정보는 물론이고 과거에 저지른
잘못
도 전부 드러나는 것처럼 말이다.사람이 점점 기계화되어 간다면 마음은 어떻게 변할까? 컴퓨터의 도움으로 지능이 좋아지다 보면 언젠가는 생각이나 감정도 변할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기계와 완벽하게 결합한 ... ...
다이어트, 먹으면서 살 빼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보세요. 혼자서 평가를 하는 것보다는 부모님과 함께 이야기해 보세요. 가족 전체의
잘못
된 식습관으로 살이 찌는 경우가 아주 많기 때문이죠. 자, 그럼 평가해 볼까요?① 세 끼를 모두 먹고 있나요?② 패스트푸드로 끼니를 자주 때우지는 않나요?③ 외식이나 배달 음식을 자주 먹지는 않나요?④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한 사람에게 악수를 청했다.굳어있던 준호 아버지 얼굴이 풀렸다.“구름 사건은 제가
잘못
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마을 여러분께 사과드립니다.”준호 아버지와 어머니가 마을 사람들을 한 번 쳐다보더니 떨리는 목소리로 마이크에 대고 비내리기를 차례로 기원했다. 드디어 맨 끝에 선 준호가 ... ...
살은 왜 찌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성장기 친구들의 다이어트는 어른들의 다이어트와는 달라야 합니다. 한참 자라는 시기에
잘못
된 다이어트는 비만으로 건강을 해치는 것보다 더 몸에 나빠요. 앞으로 2회에 걸쳐 올바른 성장기의 다이어트에 대해‘3짱 프로젝트’가 자세하게 알려 드릴게요. 기대해 주세요 ... ...
어린이 과학동아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완성되면 그 위에다 연필로 스케치를 합니다. 이것을 ‘데생’이라고 해요. 데생을
잘못
하면 훌륭한 만화가 탄생할수 없답니다. 데생을 잘 하기 위해선 오랜 시간 동안 스케치연습과 미술 공부를 해야 해요. 선화 작업 ▶▶▶▶데생이 완성되면 그 위에다 펜으로 정성스럽게 선을 그립니다. 선은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이유는 한 가닥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나머지 하나의 가닥으로 고치기 쉽기 때문이랍니다.
잘못
된 유전 정보를 전달하면 큰일일 테니 말이에요. 귀귀가 둘인 것은 소리가 난 방향을 알기 위해서예요. 양 쪽의 귀에 소리가 들어오는 데 미묘한 차이가 생기고, 그 차이를 뇌가 인식 해 소리의 방향을 알 ... ...
여드름 싫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오해를 풀자!여드름,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잘못
된 정보도 많지요. 여드름에 대한
잘못
된 오해를 풀어드립니다.오해 1 여드름이 점이 된다?피지가 공기와 만나 검게 변하는 블랙헤드나 여드름으로 인해 피부색이 검게 변하는 것을 보고 여드름이 점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자기력 체험관 '다부터피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조각들 중에서 방향이
잘못
된 자석은 어떤 것일까? 떨어진 조각과 방향을 잘 생각해서
잘못
된 조각을 찾아보도록 하자. 썰렁홈즈의 정답장난꾸러기‘몽조리 다부트라’사건을 모두 해결한 썰렁홈즈. 하지만 체험관의 관장인 몽조리 다부트라가 갑자기 웃기 시작했다.“와하하하! 썰렁홈즈 어떤가! ... ...
건강한 눈, 예쁜 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많이 나쁜 경우‘내 시력은 마이너스 얼마야’라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어요. 이것은
잘못
된 표현이랍니다. 시력검사표를 보면 가장 큰 글씨가 겨우 보이는 경우 0.1, 가장 작은 글씨가 보인다면 시력은 2.0이 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글씨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마이너스의 시력이 되는 것이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사람들은 포르피린증에 걸린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흡혈귀의 전설을 만들어 냈습니다.
잘못
된 이야기를 듣고 병을 치료하기 위해 실제로 사람의 피를 마신 사람들도 있다고 해요. 이런 모습이 정상인들에게 흡혈귀로 보인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요.15세기 루마니아의 왕 블라드 체페슈도 흡혈귀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