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성폭행범 귀에 경 읽기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대답이 20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부산대 의대 박남철 교수는 “성폭행범의
잘못
된 심리는 가만히 놔둔 채 성욕만 줄인다고 해서 성범죄가 감소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화학적 거세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경기대 이수정 교수는 “성폭행범 처벌이 강화되고 화학적 거세를 실시하면 화성 ... ...
물문맹률 제로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이야기하는 이유다.3월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과학동아는 물에 대해
잘못
알고 있던 5가지를 골랐다.이제는 물이 더 이상 물로 보이지 않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물문맹률 제로에 도전하라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기획3. 산성비 ... ...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밝아서 코로나를 찍는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허긴스의 사진이
잘못
됐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그 뒤 허긴스는 몇 차례에 걸쳐 낮에 코로나를 찍으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기적은 다시 일어나지 않았다. 그 뿐만 아니라 어느 누구도 성공할 수 없었다. 결국 허긴스가 과거에 찍은 ... ...
정말 이해 할 수 없는 교통체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곳인데…. 그럼 빨리 목적지로 가야 하는 거 아냐? 정말 이상하군. 내가 주차장을 도로로
잘못
읽은 거 아닐까…? *교통 체증은 왜 생기는 걸까?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는 끊임없이 계속 빠르게 달릴 수 없다. 속도를 줄일 때도 있고 신호 때문에 정지해야 할때도 생긴다. 이럴 경우 도로가 감당할 수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앤드루 잭슨 전 미국 대통령의 초상화 옆에 오렌지 주스로 유명한 델몬트 사의 스티커가
잘못
새겨진 20달러 지폐 한 장이 경매를 통해 2만 5300달러(우리나라 돈 2500만 원)에 팔렸다고 해요. 1996년 미국의 포트워스 조폐창에서 만들어진 이 지폐에 어떻게 스티커가 들어가게 되었는지 밝혀지지는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일종의 뇌 발달 장애다. 뇌세포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했거나 신경세포끼리 연결이
잘못
돼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박동재가 말한 피질이형성증은 6층으로 이뤄져야 할 대뇌피질이 3~5층으로만 구성되는 것처럼 뇌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한 경우를 가리킨다. 피질이형성증은 실제로 정신지체장애를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측정하기 위해 교량을 비롯한 현장에 센서를 설치했다. 센서에 문제가 생겨 데이터가
잘못
측정됐어도 그대로 받을 수밖에 없었다. 눈으로 직접 볼 수 없는 게 문제였다.도로에 설치된 과속감시카메라는 자동차를 사진으로 찍어서 감시한다. 물도 이렇게 측정하면 되지 않을까. 교량에 카메라를 ... ...
왜 우리는 황우석을 믿었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선거에 이겨 자신감에 차 있던 상태에서 집단사고의 함정에 빠져, 피그만 침공이라는
잘못
된 결정을 내렸다. 1961년에 실행된 피그만 침공작전은 완전히 실패해 침공군 대부분이 현장에서 사살되거나 체포됐다. 이 사례는 미국 정부가 내린 역대손에 꼽는 비합리적 결정 중의 하나로 기록됐다. 사이비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 교수가 자연과학의 세계 강의를 시작하며 칠판에 쓴 글이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을
잘못
쓴 건 아닐까. 김 교수는 사람의 평균 체중이 60kg이라는 점과 몸의 대부분이 물이라는 가정을 통해 사람이 1만 몰(mole, 6x${10}^{23}$개 입자)의 원자로 이뤄져 있음을 추론해서 설명하기 시작했다.“사람이 몇 ... ...
피부의 천적 가려움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아마 이런 방법이 진료하는데 간편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한의학의 진단과 처방이
잘못
될 가능성을 줄여주는 장점이 더욱 큰 것 같다.왜냐하면 한방 진료에서 칼날같이 정확한 변증이란 항상 어려운 것이어서 가끔 약을 바꿔써봐야 비로소 맞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민전과 같은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