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마비 환자, 기타를 잡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뇌의 전기신호를 파악했다. 연구팀은 이 전기신호를 손동작과 정확히 짝짓기 위해 기계학습(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고장난 척수 대신 컴퓨터에 뇌 신호를 집약․변환․전달하는 업무를 맡긴 셈이다. 연구팀은 뇌에서 측정한 미세신호를 컴퓨터로 보내 손동작을 일으키는 전기신호로 ... ...
- [News & Issue] 헐크가 된 야구선수들, 지난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사항이 ‘팔만 사용한다’는 것이다. 서있는 상태에서 배트를 휘두르는 타자도 태엽기계와 같이 몸 전체를 뒤로 돌렸다가 앞으로 빠르게 회전시킨다. 이때 가장 먼저 태엽을 풀어야 하는 부위는 팔이 아닌 복부와 둔부다. 몸의 중심이 회전을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팔과 다리가 같이 회전하는 것이다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거 아닌가요? 이 섬은 죽음의 섬입니다. 이 숲은 살아있는 것이 아니고요. 그저 단백질 기계일 뿐이지요. 이 숲의 나무 숫자를 맞춰볼까요? 이천여 그루 정도일 거예요. 중간에 실패하거나 포기한 개체도 있을 수 있겠지만요.기억하세요? K박사의 연구가 알려진 뒤 가장 많이 제기된 반론은 1차 소화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남다은: (들고 있던 종이를 보며) 우리가 쓰는 일반 종이요?황석연: 네. 캐드(CAD, 건축이나 기계, 전기 분야에서 설계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로 미리 전개도를 제작합니다. 그 다음에 종이접기를 해서 다양한 장기 모양의 틀을 만들죠. 종이 표면을 고분자로 얇게 코팅한 다음 하이드로겔을 입힙니다 ...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됐다.이곳에는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갖춘 인재가 두루 모여 있다. 기계공학을 전공한 전 대표의 경우, 채소를 키우는 데 필요한 장치를 수입하는 대신 최적의 조건으로 직접 설계했다. 사진을 전공한 직원은 요리 사진과 레시피 동영상을 편집해서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성장하고,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내리고 올리는 A자 모양 지지대)과 우현측 25t A-Frame도 위풍당당했다. 윈치(로프를 감는 기계)에 감긴 로프는 그 길이가 1만m가 넘었다.육지와 실시간 통신하는 배첫 눈에 드러나진 않지만 이사부 호의 또 다른 장점은 섬세한 센서였다. 일단 배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음과 진동이 적고 변속이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활용해 프로 바둑기사들의 패턴을 학습했다.딥러닝은 ‘기계학습’의 방법 중 하나다. 기계학습이란 컴퓨터에게 방대한 데이터를 주고 스스로 일반적인 패턴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딥러닝은 데이터만 넣어주면 알아서 각각의 중요한 특징을 찾아 스스로 학습한다.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의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컴퓨터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당시 그는 “지능이 창발했다고 주장하는 일부 연구는, 기계가 우연히 내놓은 결과를 인간이 자의적으로 해석한 것에 불과하다”며 “그러나 다른 방법을 통해 인간의 지능처럼 ‘보이는’ 인공지능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통적인 개념의 초지능은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1층에 기계가 가득하던데요.열플라스마를 이용해서 새로운 나노 구조 물질을 만들어내는 기계들입니다. 저흰 주로 1만℃ 영역대의 열플라스마를 쓰는데요. 이걸로 어떤 물질이든 기체로 만들 수 있습니다. 기체가 된 원료를 적절히 잘 냉각시키면 원자가 하나씩 붙으면서 나노 물질이 스스로 ... ...
- [Tech & Fun] 삼성 딜라이트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꿈꾸는 학생들에게 매력적인 프로그램이 삼성 딜라이트에 다양하게 준비돼 있다. 기계공학자가 꿈인 김호진 학생은 “증강현실 속 냉장고가 무척 신기했다”면서 “커서 내 손으로 이런 냉장고를 만들어보고 싶다”고 했다. 로봇공학자가 꿈인 강현민(서울 버들초 5) 학생은 “가상현실이 현실인지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