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크게 발전하고 있다”며, “측정 센서 기술과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가공, 기계 학습 등이 함께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역문제를 이용한 기술 발전의 전망은 밝다”고 말했다. 이에 덧붙여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사람의 상태나 감정을 추론하는 역문제 해결 방법이 특히 더 많이 ... ...
- [과학뉴스] 세상의 마지막 촛불이 꺼지는 순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3월 9일 오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일부 지역에서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의 장관이 펼쳐졌다.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지역의 폭은 155km에 불과했다. 안타깝게도 서울에서는 오전 10시 10분부터 1시간 9분 가량 태양의 3.5%가 가려지는 부분일식밖에 볼 수 없었다.개기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원리로 인간 지능의 정수라는 추상화를 해낸다. 아직까지는 단순한 개념을 받아들이는 기계에 불과하지만, 이런 기본적인 개념을 쌓고 쌓는다면 언젠가는 인간에 필적하는 지능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은 까마득한 길이지만 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Part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람들은 바쁘신 몸이라 거주구역까지 한가히 찾을 여유가 없었다. 조사팀원은 그가 기계 관리며 광산 관리에 관해 코쇠인들에게 했던 조언을 물었다. 배워 아는 것을 물어보니 가르쳐 준 것이죠. 그는 무심히 답했다. 이곳은 오래 된데다 외진 행성이니 도와줄 수 있으면 좋지 않습니까. 그는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위해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가장 간단한 기계학습은 천문학자들이 학습 가능한 자료와 기본적인 학습 방법을 설정하면, 컴퓨터가 스스로 최적의 학습 방법을 찾아내 학습하고 이것으로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밝기가 변하는 천체들의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달라진다. 염증이 있는 쪽은 발이 바깥쪽을 향하게 된다.용의자의 진료기록이 필요하다.기계공학과 교수 CCTV 속 사람의 보폭을 측정해 달라는 의뢰가 들어왔다. CCTV 화면을 보니 지면에서 1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사람을 기준으로 30° 정도 기울어진 각도에서 찍힌 듯하다. 보폭을 측정하기 위해선 이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들리지도 않고 말도 할 수 없었다. 아마, 이 연결된 망가진 나의 뇌 조각에 여러 가지 기계를 이어 붙인 것이 있어서 그 측정 결과를 그 눈이 큰 연구원 학자와 그 상사들이 구경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렇지만, 나는 그런 것에 연연하지 않고 그냥 혼자 생각만 했다. 어차피 시간 감각은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속도가 느려서 딥러닝이 사장될 뻔 했다.준 딥러닝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한 기계 학습의 가장 큰 난관은 우리가 모르는 함수를 찾는 것이다. 간단한 함수를 설계하는 것은 쉽지만, 바둑을 이기는 법 같은 복잡한 함수는 수학적으로 풀기엔 너무 어렵다. 하지만 간단한 방법으로 근사를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38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길이의 100배나 뛸 수 있을까’와 같은 궁금증이 연구 주제로 발전하게 되거든요.이차연 기계공학의 매력은 뭐라고 생각하세요?김호영 공부한 것을 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인 것 같아요. 소금쟁이 로봇을 예로 들자면 소금쟁이에 대해 탐구한 결과를 바로 로봇이라는 형태로 구현할 수 ...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낚을 때, 실제처럼 휘리릭 소리가 나면서 미세한 진동이 느껴지는 겁니다. 키보드 같은 기계적인 버튼은 자판 순서를 외우면 보지 않고도 원하는 것을 누를 수 있습니다.하지만 터치스크린은 어디를 눌러야 할지 일일이 쳐다봐야 합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사용자가 정확히 터치했다고 확실히 알 수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