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어요미국 코네티컷대 수학과 이규환 교수지난 7월, 캐나다 밴프국립공원에서 열린 국제학회에 참여했어요. 일주일 동안 여러 강연도 듣고, 저와 관심 분야가 비슷한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며 함께 문제를 풀었어요.제가 연구하는 표현론은 문제 하나를 푸는 데 적어도 1년은 ... ...
- [과학뉴스] 남해에서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 세계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름 붙였다.지금까지 도마뱀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발자국 화석은 주로 땅이 질은 물가에서 발견되는데, 공룡이 번성했던 백악기에는 포식자들 때문에 도마뱀이 물가에 살지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화석을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변형이 의외로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첨성대를 오랫동안 조사한 김덕문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장은 “북쪽으로 1.1° 가량 기울어져 있던 첨성대가 이번 지진으로 0.1° 가량 더 기울었다”며 “북쪽 지반이 다른 곳보다 약한 것은 사실이지만, 무게중심이나 위치를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원 덕분에 작은 연구 성과를 논문으로 출판할 수 있었고, 그 결과를 가지고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도 연구비 지원을 받게 됐다. 6년이 지나서야 작은 진전을 이룰 수 있었고, 그걸 토대로 또 다른 연구비 지원을 받게 됐다.두 번째 인연은 미국인 백만장자 헬렌 키멜을 만난 것이다. 과학자 출신인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프라이머를 디자인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만든 것으로, 프라이머 여럿을 후보군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목표가 아닌 유전자에도 달라붙는 쓸모없는 프라이머가 다수 포함돼 있다. 연구자가 하나하나 직접 적합성을 테스트한 뒤 ... ...
- [과학뉴스] 하마 이빨에서 아프리카 초원의 미래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줄었을 때 식생이 어떻게 달라질지도 추측할 수 있다.연구팀은 우간다의 엘리자베스여왕국립공원에서 1960년대부터 2000년까지 수집된 하마의 이빨에 들어 있는 탄소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1960년대에는 난지형목초 같은 C4 식물이 먹이의 80% 이상을 차지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비율이 65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2억30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전까지 약 1억7000만 년을 주름잡던 공룡이 한 순간에 사라졌다(일부 살아남은 게 지금의 새다). 이 사건은 많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자아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과연 6600만 년 전, 공룡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가장 널리 알려진 공룡 멸종 가설은 ... ...
- [수학뉴스] 미술품 가짜 논란, 수학으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이 가짜라고 주장하면서논란이 시작됐습니다.당시 국립현대미술관은 적외선과 엑스선 촬영 등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해 진짜라고 판별했지만, 8년 뒤작품을 위조했다는 사람이 나타나면서 사건이 다시 미궁으로 빠졌습니다.최근 동아일보 취재팀은 사건을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것(What insects cantell us about the origins of consciousness)’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3일자에 발표했다. 논리는 이렇다. “인간의 의식은우리 뇌의 핵심 영역인 중뇌에서 비롯된다. 그런데 곤충 뇌의 ‘중심복합체(central complex)’라는 부위가 의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강하다.이런 ‘악랄한’ 식물들이 한자리에 모여 있다면 어떨까. 아르헨티나 코르도바국립대 산드라 디아즈 교수는 식물들 간의 경쟁 관계를 알아보고자, 식물 4만5000종을 여섯 가지 특징(키, 씨 무게, 줄기 무게, 잎 무게, 잎 넓이, 영양분)으로 분류해 이 식물들이 서로 어떤 경쟁 관계를 갖는지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