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학력이 가장 높은 도시 중 하나입니다. 인구 10만 명 남짓한 소도시에 NCAR를 비롯해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미국 해양대기청(NOAA) 분소까지 유명한 연구소가 세 개나 몰려 있습니다. 볼더는 야외스포츠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도시이기도 합니다. 요즘 같은 여름철에는 로키산에서 ... ...
- [새 책] “너 내가 그럴 줄 알았다!” “REALLY?”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생명을 온전히 지키려는 그 마음이 느껴져서. 총 11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고롱고사 국립공원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아프리카의 대자연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자연과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고롱고사 사람들의 노력도 보여준다. 지속 가능한 자연보호를 위해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 ...
- [수학뉴스] 프랙탈을 알면 미래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바로 도마뱀붙이(게코)의 발바닥과 브로콜리처럼요.미국 퍼듀대 통계학과 교수이자 국립과학재단의 확률 프로그램 디렉터인 프레데리 비엔즈에 따르면, 큰 돈이 오고 가는 주식 시장에서도 프랙탈을 볼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주가지수*는 조금씩, 나날이 변하지만 일주일 또는 일 년 동안 ... ...
- [과학뉴스]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가설을 ‘디벨롭멘탈 셀’ 6월 20일자에 발표했다.김정웅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팀은 간상세포에서만 녹색 형광을 내는 유전자변형 생쥐를 만들고, 발생 시기별로 간상세포를 채취해 유전자 전사체(mR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성체 간상세포에서 원추세포의 특성을 ...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팀의 엄재윤 대원이 새로 조직한 프로비 팀은 꿀벌과 밀원식물 연구로 지난해 국립생태원에서 주최한 탐구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사례를 들려 줬어요. 고민욱 대원은 “초등학교 6학년 때 지사탐을 시작했는데 올해 벌써 중학교 3학년”이라며, “지사탐 덕분에 큰 상을 받는 등 좋은 일이 많이 ... ...
- [과학뉴스] 화성 암석, 복잡한 탄생 비화 드러나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화성의 암석 형성 과정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복잡하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가 나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화성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 ... 역사가 예상보다 훨씬 복잡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됐다.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13일자에 발표됐다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종 간 이식에 큰 가능성을 열어준 연구지만, 윤리적인 문제로 찬반논란이 뜨겁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은 지난해 9월 인간 줄기세포를 낭배기(세포들이 조직과 기관으로 분화를 시작하는 발생의 한 단계) 이전의 다른 척추동물 배아에 주입하는 연구는 연구비 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인간의 ... ...
- [수학뉴스] 당신의 메시지가 전염병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당신은 오늘 몇 번 전화를 하고, 몇 건의 메시지를 보냈나요? 당신이 누군가와 연락하는 동안 놀랍게도 전염병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기특한 정보가 만들어집 ... 추적해야 했는데 이제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4월 20일자에 실렸습니다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0-13에서 10-18 사이에서 뭔가 특별한 현상이 나타나야 한다.이 현상을 찾기 위해 프랑스국립우주연구센터(CNES) 는 4월 25일 마이크로스코프(MICROSCOPE)라는 인공위성을 우주로 발사했다. 인공위성에는 10-15 영역에서 등가원리를 검증할 수 있는 원통형의 두 질량시험체 쌍이 들어있다. 시험체 한 쌍은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 수가 매우 줄어들어서 광릉숲처럼 환경이 잘 보존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답니다.국립수목원의 많은 연구자들은 광릉숲의 개구리들을 보호하고, 사람 주변에서도 살 수 있게 만들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요. 여러분의 집 주변에서 아름다운 개구리의 합창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함께 응원해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