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0, 9, 8, …, 1, 지금부터 바이오블리츠 코리아를 시작합니다!”25일 오후 2시, 국립수목원 이유미 원장님의 카운트다운으로 행사가 시작됐어요. 바이오블리츠는 생물 전문가와 일반인이 함께 모여 24시간 동안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으로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이에요. 그래서 일명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돼요. 결국 생태계가 파괴되며 차례차례 멸종의 길을 걷게 된답니다. 올해 2월, 미국 국립대기환경연구소는 1km 크기의 소행성이 육지에 떨어지면 핵겨울을 넘어 아예 빙하기(아이스 에이지)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연구소에 따르면, 1km 크기의 소행성은 약 15km 지름의 크레이터를 만들어요. 이때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유문등: 야행성 곤충이 좋아하는 350~370nm 파장의 푸른 빛으로 모기를 유인하는 등.호주의 국립공중보건역학센터의 맥마이클 교수는 지구온난화로 전세계적으로 평균 기온이 5.8℃까지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2100년에는 모기가 열대지방은 2배, 우리나라와 같은 온대지방은 100배 이상 증가할 ... ...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지정해 제거에 힘쓰고 있지.식물학자 되어 보기!“오늘 탐사대장님들과 함께 국립수목원에 사는 귀화식물들에 대해 알아볼거예요. 원하는 귀화식물이나 잡초를 채집해 함께 표본도 만들어 봐요.”윤미정 박사님의 말에 난 가슴이 철렁했어. 표본이란 식물이 상하지 않도록 건조시켜 종이에 ... ...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어제 뒷산에 갔는데 장수하늘소랑 똑같게 생긴 곤충을 보았어요!”7~8월이 되면 국립수목원에 장수하늘소에 대한 문의전화가 많이 와요. 하지만 시민들이 제보한 곤충이 진짜 장수하늘소였던 적은 없어요. 앞에서도 말했듯이, 광릉숲에서만 장수하늘소를 찾아볼 수 있거든요.사람들은 왜 다른 ... ...
-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검룡소와 비슷한 조건의 배지를 만들어서 코라이언스를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코라이언스의 발견으로 국내 담수 수계가 유용생물자원의 서식지로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배양기술을 개발해 국내 담수 유용생물자원의 발굴과 기능성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금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매년 15만 명에 달하는 어린이가 HIV에 신규 감염된다.미국국립보건원(NIH) 과학자들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HIV 모계 전이를 줄이는 다채로운 방안들을 실험해 각각의 효과를 학술지 ‘에이즈’ 8월 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실험한 방안은 여성들을 어떻게 하면 ... ...
- [과학뉴스] 세포와 함께 하는 메리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연구하는 컴퓨터 모델링 방법을 연구할 예정이다. 스크립스연구소의 세 연구 그룹은 미국국립보건원(NIH)으로부터 총 660만 달러(77억6820만 원)를 지원받는다.공동연구팀은 예시로 마이코플라즈마를 모델링한 사진을 공개했다(사진 ③). 세균에 속하는 마이코플라즈마류에는 소의 전염병인 우폐역,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가능성이 있다.씨드볼트는 내년 초까지 종자 저장 및 연구 기능을 완벽하게 갖추고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개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장정원 연구원은 “2023년까지 약 30만 점의 종자를 모아 보관할 계획”이라며 “중심 터널에 종자장기저장고 터널을 4개까지 만들 수 있기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따라 도구를 조금씩 다르게 사용한다. 벌꿀을 따는 도구도 있다. 2009년 아프리카 가봉의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침팬지 무리에서 처음 관찰됐다. 벌꿀을 따는 도구는 흰개미 낚시 도구보다 더 크고 길며, 형태가 다양하다(사진 참조). 침팬지는 먼저 굵은 도구(망치)를 이용해 벌집을 두드려 균열을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