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친구들은 새의 조상이 어떤 동물인지 알고 있나요? 아마 대부분 시조새로 알고 있을거예요. 그런데 지난 20여 년 전, 새의 진짜 조상은 공룡이라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되었어요. 공룡은 어떻게 새의 조상 후보가 된 걸까요? 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깃털공룡 전문가인 중국의 쉬 싱 박사님을 직접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있는지, 울음 소리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세 팀은 이 자료로 2016 국립생태원 생태·환경(동아리) 탐구 발표대회에 나가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어요. 지사탐 대원들의 활약이 정말 눈부시죠?장이권 교수님은 “대원들의 연구 내용이 전문가들도 깜짝 놀랄 정도로 깊이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국립수목원에 또 다시 겨울이 찾아왔어요. 국립수목원이 있는 광릉숲의 생물들뿐만 아니라수목원 사람들도 바쁘게 움직이는 시기지요. 앙 ... 원앙은 봉선사천뿐만 아니라 수생식물원에서도 자주 만날 수 있답니다. 이번 겨울에 국립수목원을 방문하게 된다면 이 친구들을 꼭 만나 보세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매머드, 시베리아에서 우리나라로!천연기념물센터에 도착하자 우리나라 척추고생물학의 대가인 임종덕 박사님이 반갑게 맞아 주셨어요.“매머드는 다섯 종류가 있답니다. 그 중 오늘 여러분이 만나 볼 매머드는 ‘털매머드’에 속해요. 약 45만 년 전부터 1만 1000년 전까지 살았던 매머드로, 이름 ...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브라질 상파울루대 국제공동연구팀은 2014년 9월과 2015년 6월에 브라질 세라다카피바라 국립공원의 카푸친원숭이가 만든 석기 총 111개를 모았답니다. 전체 석기들의 평균 크기는5cm 정도였으며, 그 중 약 54%는 한쪽 면이 날카로운 돌도끼 형태였어요.연구팀은 이 석기가 약 250만에서 170만 년 전의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제천체투영관영화제에서 황홀한 오로라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국립과천과학관 천체투영관에서 열린 에 다녀왔습니다. 돔 전체가 영화 화면이 된다고 생각하니 설렜어요.영화 ‘생명의 빛, 오로라’에서 세계 곳곳의 사람들이 오로라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 주었어요. 핀란드에서는 여우가 눈밭을 뛰어다니면서 흩뿌린 눈 결정이 ...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생물의 대부분이 한 시기에 갑자기!캄브리아기 초기부터 중기까지인 ‘생물 폭발 시기’에는 갑자기 생물들이 우르르 등장했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시기에 지구 생물 대부분의 조상이 탄생했다는 점이에요.일반적으로 생물을 분류할 때 ‘종속과목강문계’의 일곱 가지 그룹을 사용해요. ...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신비한 동물을 찾다 보니 머글 세계의 신종 탐험가들도 만날 수 있었어. 그들도 나처럼 그저 신비한 동물을 찾는 것이 좋아서 나선 걸까? 아니면 머글 세계의 신비한 동물은 더 큰 의미를 갖고 있는 걸까?신비한 동물은 ‘잃어버린 고리’신종 연구는 생태계를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이자 생물다양 ... ...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눈을 의심하게 하는 ‘버제스 셰일 동물군’지구가 생겨난 것은 약 45억 년 전이지만, 이후 한동안 생물은 탄생하지 못했어요. 그러다가 약 38억 년 전,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가장 단순한 형태의 ‘단세포 생물’이 등장하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그 이후 30억 여 년 동안, 생물의 진화는 크게 일어 ... ...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환경이나 생김새 등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변화가 신종을 만들어냈다는 사실을 알았어. 난 환경이 특이하거나 다른 사람이 가기 힘든 곳부터 가 보기로 했어. 이제 본격적으로 신종 탐험에 나서 볼까?밀림에서 새 포유동물을 찾을 수 있다?열대우림은 신종을 포함한 신비한 동물이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