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가 많이 줄어든 상태였어요. 이 경우에는 낮은 번식률이 멸종을 앞당길 수 있어요.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임종덕 박사는 “한 종이 개체수를 원래대로 회복하는 능력을 ‘종복원력’이라고 한다”며, “장비목은 종복원력이 매우 낮기 때문에 멸종 위기가 닥쳤을 때더 위험하다”고 ... ...
- [과학뉴스] 네이처 기후변화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향후 지구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은 얼마나 될까.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와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공동연구팀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향후 8년간 지구 환경 변화를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트럼프의 영향으로 전 세계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할 당사국들이 ...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살고 있었다. 이때만 해도 새로운 종을 찾았다는 사실을 몰랐다. 하지만 최근 싱가포르 국립대 생명과학과 피터 응 교수팀은 이 게가 이전까지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새 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주키스’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해리플랙스 세베루스는 길이와 너비가 1cm 미만이며,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변 박사는 “어업인들에게 수정란을 분양하고 기술 지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면 육상 수조식 양식과 해상 가두리 양식으로 동시에 명태를 키워낼 계획도 있다. 이대로라면 2020년에는 우리 식탁에 양식 명태가 올라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 ...
- Part 2. 빙하기 땅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털매머드는 빙하기에 딱 맞아!털매머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매머드가 살았던 시기는 약 285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까지 이어진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예요. 이 시기 후반부는 또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답니다. 바로 ‘빙하기’지요.지금은 평균 기온이 영하에 머무르는 북극과 남극, 그리고 그 부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제도는 행정력을 낭비하는 불필요한 제약”이라고 비판했다.이에 대해 권선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사는 “우리나라의 경우 생태계가 좁아 외래종이 큰 문제가 된다”며 “생물의 소재 파악을 위해 양도·양수 신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물론 개체 구분이 어려워불법 행위가 일어날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직 찾지 못했다’라는 이 논문의 저자 사샤 폰게르 중국 난징대 고체마이크로구조국립연구소 연구원은 “HP가 개발한 멤리스터는 진짜 멤리스터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관절 잃어버린 소자, 멤리스터가 무엇이기에 이런 논란이 생긴 걸까.멤리스터의 진짜 물리적 성질은?‘진짜 멤리스터는 ... ...
- [특별 인터뷰] 개구리와 맹꽁이 탐구로 큰 상 받았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말, 기쁜 소식이 들려왔어요. 제3회 국립생태원생태·환경(동아리) 탐구 발표대회에서 지구사랑탐사대대원들이 큰 상을 받았다는 소식이었답니다.내친구봄이 팀의 고민욱, 고민규 형제와 발자국 팀의 엄재윤, 닥터구리팀의 유다은 친구는 ‘닥터구리와 프로비’라는 팀으로 출전해 중등부 대상을 ...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중 얼음 구름이 탄생하는 순간을 처음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북태평양국립연구소 환경분자과학실험실 알렉산더 라스킨 박사팀은 입자가 수증기를 흡수해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과정을 촬영해 학술지 ‘물리화학·화학물리’ 2016년 11월 21일자에 발표했다.구름은 태양 빛을 반사해 지구를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탈리바이스 박사팀은 지금껏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냄새를 발견해 2012년 12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그 냄새는 놀랍게도 바로 ‘무취’였다.연구팀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맡을 수 있는 냄새분자 86개를 선택했다. 그 중에 4개씩, 10개씩, 15개씩…, 40개씩, 43개씩 골라 희석한 뒤,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