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구는 우주에서 온 전체 태양 복사 에너지의 약 70%를 흡수하고 나머지는 반사한다. 20%는 대기에 50%는 지표에 흡수된다. 지구기후시스템은 에너지 평형을 이루기 위해 흡수한 에너지를 우주로 방출하려고 한다. 그러나 지구 복사 에너지는 태양 복사와 달리 잘 투과되지 않는다. 가까운 대기층의 수 ... ...
- [쇼킹 사이언스] 알록달록 무지개 산이 있다?! 단하지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수천만 년 동안 쌓이고 쌓인 암석들 덕분이랍니다.중국 북서부 간쑤성에 있는 장계국립지질공원은 ‘단하(Danxia, 단샤)’라고 불리는 독특한 지형으로 돼 있어요. 이 지역에는 백악기 시대인 8000만 년 전부터 퇴적물이 쌓이기 시작했답니다.퇴적물의 종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져요. 가장 많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레고 구조대, 해양생물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생물을 구출하는 ‘레고 구조대’가 나타났대요! 바다의 수호자 혹등고래부터 기후 변화에 힘들어하는 점박이물범까지! 기자단 친구들과 함께 레고 구조대를 만나 봐요.해양생물 구출 대작전! 레고 구조대“얼른 구출해야 해! 집중, 집중!”기자단 ... ...
- Intro. 매머드 멸종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안녕! 난 매머드 ‘덤보’야. 요즘 날씨가 좀 따뜻해졌길래 룰루랄라 놀러갔다가 잠깐 잠이 들었는데…, 응? 눈을 떠 보니 뭐가 좀 이상한 거 있지? 다리도 안 움직이고, 눈도 못 깜빡이겠고, 온몸은 얼음처럼 차가워! 게다가 사람들이 날 번쩍 들어다가 어디로 옮기고 있지 뭐야? 으아아앙! 대체 나 ... ...
-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살 곳도, 먹을 것도 없어요~!털매머드는 약 1만 년 전 대부분 멸종했어요. 큰덩치로 유럽과 아시아 대륙 전체를 호령하던 털매머드들이 갑자기 멸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이 꼽는 가장 큰 원인은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졌기 때문이에요.약 1만 4000년 전 빙하기가 끝나면서 지 ... ...
- [과학뉴스] 네이처 기후변화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향후 지구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은 얼마나 될까.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와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공동연구팀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향후 8년간 지구 환경 변화를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트럼프의 영향으로 전 세계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할 당사국들이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제도는 행정력을 낭비하는 불필요한 제약”이라고 비판했다.이에 대해 권선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사는 “우리나라의 경우 생태계가 좁아 외래종이 큰 문제가 된다”며 “생물의 소재 파악을 위해 양도·양수 신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물론 개체 구분이 어려워불법 행위가 일어날 ...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8 / kids@dongascience.com참가비무료● 특별한 혜택현장교육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국립수목원, 국립농업과학원 소속 생태학자와 함께하는 현장교육 무료 제공탐사물품 제공가이드북, 온라인 탐사대원증 등(정기구독자 한정)인증서 발급생명다양성재단 인증서 발급(수료 탐사대원 기준)여름 캠프온가족이 ... ...
- [과학뉴스] 왜 낯선 침팬지 냄새가 더 좋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개체들 간의 유전적 유사성을 분석한 뒤 교배 행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수컷 침팬지들은 국립공원에서 오랫동안 거주한, 즉 유전적 유사성이 높은 침팬지보다는 이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침팬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를 ‘근교약세(inbreeding depression, 근친교배를 오랫동안 ...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슈퍼김 종자가 생산성은 좋지만 맛이 떨어저 재래김 종자와 섞어서 사용한다. 허진석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 연구사는 “단기간에 거둬들일 수 있는 잇바디 돌김(Porphyra dentata)을 가장 먼저 거둔다”며 “어업인들이 말하는 재래김 종자라는 것은 방사무늬김(P. yezonensis)을 지칭하는 것으로,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