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조사하는 주제와 관련해 공동의 경험을 가진 인구의 집단이다. 이 코호트에는 미국국립보건원(NIH)이 폐경 후 여성의 건강상태를 조사한 ‘WHI(Women’s Health Initiative)’에 사용된 인구 코호트도 포함된다. 백인, 흑인, 히스패닉 등 세 인구집단은 포함돼 있었지만 아쉽게도 한국인이나 아시아계열이 ...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꽃가루를 바닷물에 흘려보내 다른 해초로 이동시킨다고 생각했어요.그런데 최근 멕시코국립자치대학교 연구팀은 카리브해와 멕시코만 주변에서 해초의 꽃가루를 나르는 동물을 발견했어요. 이 동물은 크기가 0.6~8mm 정도인 새우의 ●유생이에요. 이렇게 크기가 작은 갑각류는 해초 위에 번식하는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구체적으로 알아낼 수 있었어요(doi:10.1371/journal.pone.0105948).미국 캘리포니아 주 데스밸리 국립공원에는 겨울에 잠시 동안 얕은(불과 수 cm 깊이의) 물웅덩이가 생기는데, 이 웅덩이 표면이 밤사이 얼었다가 따뜻한 낮 시간에 녹으면 수 mm 두께의 얼음 조각들이 웅덩이 표면을 떠다니게 됩니다. 마치 ...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아기 공룡이 알에서 태어나려면 며칠이 걸릴까요? 이 궁금증은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공룡의 수수께끼 중 하나였어요. 그런데 최근 공룡 알의 부화기간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어요. 지금부터 그 비밀을 들려 줄게요.이빨로 본 공룡의 부화 기간올해 1월,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가 이끄는 ... ...
- Intro. 벌부터 도마뱀까지! 최고의 사랑 배달부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안녕? 난 이번에 5학년이 된 김◯◯이야.고민을 털어놓는 자리이니 이름은 일단 비밀로할게. 새로운 반에서 만나 첫 눈에 반한 친구가 있는데, 이번 화이트데이에 고백하려고 하거든. 예쁜 사탕 바구니도 준비했는데…. 도대체 어떻게 전해야 할지 모르겠어. 거절당하면 어쩌지? 누가 나 좀 도와 줘! ...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략1 꽃에 남은 흔적을 확인하라!식물은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붙는 ‘수분’이 이루어져야열매를 맺고 씨앗을 퍼뜨릴 수 있어요. 그래서 바람이나 곤충등의 도움을 받지요. 그 중에서도 벌은 손꼽히는 도우미랍니다.벌은 꽃에서 꿀과 꽃가루를 모아 영양분을 섭취하고 애벌레에게 줄 ... ...
- [Photo] 우주는 사랑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어우러져 환상적인 모습을 연출한다. 편집자주 ‘사랑의 결실’은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25회 천체사진공모전의 심우주 부문 은상 수상작이다. 이 작품을 비롯해 수상작으로 뽑힌 20장의 아름다운 사진과 그림, 동영상은 한국천문연구원(kasi.re.kr), ... ...
- [Issue] 5월의 여왕, 장미 만드는 ‘킹 메이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폐광에서 잠을 자는 붉은박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오렌지색 털이 특징인 붉은박쥐는 원래 아프리카의 열대지역에 살았어요. 이런 붉은박쥐가 온대지역인 우리나라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전략이 필요했지요. 바로 겨울잠이에요. 먹이가 없는 추운 겨울에 살아남기 위해 안전한 장소에서 잠을 자며 기다리기로 한 거예요. 붉은박쥐는 10월 말에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통신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도 심해지고 있다.미국의 경우 2000년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LANL)에서 48km거리의 광통신을 이용한 양자암호 전송시스템을 구현했다. 그 경험을 살려, 2005년 미국 스탠포드대와 일본의 통신그룹 NTT가 105km의 거리에서 양자암호 원격전송 실험에 성공했다. 김 교수는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