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잇따르고 있다. 어떤 소금을 먹는지도 중요하다는데, 과연 몸에 좋은 소금이 뭘까.“미국
국립
의학학술원(NAM)에서 2013년에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 소금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패닉 상태에 빠졌습니다. 소금 줄여먹기를 주도했던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단체에서 입장을 바꿨기 때문이죠.”함경식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커질 거야.후회에 관한 원칙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니? 알란 헤이젝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철학과 교수는 이 문제와 비슷한 ‘케이블 기사의 역설’에서 ‘두 개를 선택해야 할 때, 미래의 내가 후회할 것이 거의 확실한 선택은 하지 말라’는 원칙을 남겼어.오후 3시 이전에 공주가 ... ...
[과학뉴스] 화학자가 새롭게 밝힌 눈송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눈송이를 이루는 얼음 결정의 특성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터프츠대 화학과 메리 제인 슐츠 교수팀은 완전히 편평하고 커다란 육각형의 ... 나타낼 것으로 예측하고 현재 조사하는 중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5월 9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305611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최근 2년 사이에 민간업계의 참여가 늘었다. 국내에서는 특수지 제조업체인 무림P&P가
국립
산림과학원과 함께 2022년까지 나노셀룰로오스를 하루 1t씩 생산하는 설비를 구축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생산 원가를 줄이고 균일한 생산품을 만드는 게 목표다. 윤 교수는 “나노셀룰로오스 기술이 무르익기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소식을 듣고 다녀왔어요. 이런 곳에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인 제가 빠질 수 없죠!
국립
중앙과학관 자연사관은 ‘한반도 땅의 이야기와 생명의 역사’라는 주제로 한반도에 있었던 암석과 생물 화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관이에요. 자연사관은 크게 5개 ‘존(Zone)’으로 구분돼 있어요. 5개 존은 ... ...
[식물 속 동물 찾기] 털이 송송~!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3월 중순이 되면 겨울 동안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해요. 그러면 노루귀가 땅 밖으로 고개를 쏙 내밀지요. 눈을 헤치고 자라는 풀이란 뜻에서 ‘파설초’라고 불리기도 한답니다.노루귀의 모습을 보면 이름의 뜻을 바로 알아챌 수 있어요. 잎의 모습이 노루의 귀를 닮았거든요. 새끼손가락 하나 정도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실제로 만들기까지는 70년이 걸렸다. 최초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는 1995년 미국
국립
표준연구소(NIST) 산하 항공물리공동연구소(JILA)의 에릭 코넬과 칼 와이먼이 만들었다. 이들은 2000개 가량의 루비듐 원자로 이뤄진 기체를 레이저냉각(1997년 노벨 물리학상)과 자기증발냉각 기술로 170nK(나노켈빈, ... ...
[과학뉴스] 50만 개의 뉴런으로 직접 뇌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받은 작가 그레그 던은 동료와 50만 개의 뉴런을 직접 손으로 그렸다.이 작품은 미국
국립
과학재단(NSF)이 주최한 과학 데이터 시각화 경진대회인 ‘2017 더 비지스’의 일 러스트레이션 부문에서 전문가가 뽑은 최고의 사진으로 지난 3월 29일 선정됐다. 이 대회에서는 매 년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폐광에서 잠을 자는 붉은박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오렌지색 털이 특징인 붉은박쥐는 원래 아프리카의 열대지역에 살았어요. 이런 붉은박쥐가 온대지역인 우리나라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전략이 필요했지요. 바로 겨울잠이에요. 먹이가 없는 추운 겨울에 살아남기 위해 안전한 장소에서 잠을 자며 기다리기로 한 거예요. 붉은박쥐는 10월 말에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꽃가루를 바닷물에 흘려보내 다른 해초로 이동시킨다고 생각했어요.그런데 최근 멕시코
국립
자치대학교 연구팀은 카리브해와 멕시코만 주변에서 해초의 꽃가루를 나르는 동물을 발견했어요. 이 동물은 크기가 0.6~8mm 정도인 새우의 ●유생이에요. 이렇게 크기가 작은 갑각류는 해초 위에 번식하는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