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빠
부친
아버님
아바
조상
애비
아비
d라이브러리
"
아버지
"(으)로 총 1,312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량형 틀니 개발해 국제발명전 휩쓴 치과의사 윤한석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길을 걷긴 했지만 원체 기계공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던 데다 중학교 1학년 무렵부터
아버지
밑에서 간호사와 기공사 노릇을 겸하며 기공일을 손에 익힌 것이 연구에 도움을 줬다. 사실 그의 작품들은 어떤 기공사의 도움도 얻지 않고 모두 자신의 손으로 만든 것이다.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산다는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우리말)의 모태가 됐다.막내뻘인 이만성씨는 이들에게 많은 것을 배웠다. 특히 나은선 할
아버지
에게서 반사경을 연마하는 '장인기질'을 습득한 것은 호랑이가 날개를 단격. 빛 파장의 8분의 1(10만 분의 1㎜)내의 굴곡도 허용하지 않는 정밀함을 갖추기 위해서는 도를 닦는 자세를 갖추지 않으면 ... ...
(5) 초파리 연구, 진화의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형질을 반죽 하듯이 섞어서 자식을 만드는 것으로 알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왜 눈은
아버지
의 것을, 입은 어머니의 것을 닮게되는 지에 대해서 설명할 수가 없었다.그래서 멘델은 각각의 형질을 만드는 물질이 따로 있다고 가정했다. 또 그 물질은 몸 세포 속에 한쌍씩 들어있는데 생식세포(즉 ... ...
왼쪽, 오른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천재인 벤자민 프랭클린도 왼손잡이였는데 그는 미국의 건국과 초기 개발단계에
아버지
역할을 하면서 원숙한 노인이 되도록 오래 살았다. 음악의 천재인 바흐도 왼손잡이로 20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세명은 훌륭한 작곡가가되었다.왜 많은 사람들은 오른손잡이일까 ? 우리의 영장류 사촌들은 ... ...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窓)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아무리 들여다 봐도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것이 큰 고민이었다.이런 고민은 비단 순돌이
아버지
만의 고민이 아니다. 과학기술이 발전하면 할수록 세상은 더욱 복잡해지고 평범한 사람들이 알 수 있는 것은 점점 보잘 것 없는 것이 되어 간다. 더욱 편리하다는 제품이 오히려 사람을 점점 더 위축시켜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감당하지 못하고 자신도 죽으려 하였으나 마음대로 죽을 수도 없었다. 결국 폴룩스는
아버지
제우스를 찾아가 자신의 죽음을 부탁했다.먼저 늙어버린 형제우스는 아들 형제의 우애에 감동하여 결국 이들이 하루의 반은 지하세계에서 나머지 반은 지상에서 함께 지낼 수 있게 허락했다. 그리고 이들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한 사람은 세기의 천재인 로버트 위너박사다. 그는 10살도 채 되기전에 고대 그리스어로
아버지
와 농담을 할 정도로 신동이었다고 한다. 그는 아무리 중요한 세미나라고 해도 그 주제가 자신의 흥미에 맞지 않으면 사정없이(?) 졸아버리는 습관이 있었으며, 그렇게 정신없이 졸다가도 자신과 관련된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하는 사람의 최대자질은 풍부한 상상력(통찰력)이다." 이 말은 교통사고 조사분석학의
아버지
라 불리는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교통연구소 베이커박사(J.Stannard Baker)의 지론이다.최근에는 교통사고 해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컴퓨터, 사고현장촬영용 특수카메라, 가속도측정기,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작은 동반별의 존재를 밝혀냈다. 당시 12살이었던 클라크는 미국 캠브리지에서 그의
아버지
가 만든 18.5인치 망원경 렌즈를 시험하고 있던 중이었다. 이 별이 바로 시리우스 B로 알려진 백색왜성이다. 이것은 역사상 최초로 관측된 백색왜성이었다. 이것은 종종 강아지라고 불리며 밝기는 8.5등급이고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될 수 없다.놀아도 슬기롭게 놀아라'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고 하지만 '놀이는 발명의
아버지
'다. 그런데 어린이들은 왜 놀이를 좋아할까? 대답은 간단하다. 재미있기 때문이다. 그럼 왜 재미있을까? 끝없이 시도해보고 끝없이 배우기 때문이다. 놀이는 이기느냐 못이기느냐의 논리다. 이길 때는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