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빠
부친
아버님
아바
조상
애비
아비
d라이브러리
"
아버지
"(으)로 총 1,31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환경문제의 새 시각 '가이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것이지만 이러한 생각을 과학적 사실로서 대중에게 알린 최초의 학자는 오늘날 지질학의
아버지
로 불리는 영국의 제이스 허튼(1726~1797)이다. 그는 1785년 지구를 거대한 생명체에 비유하고 지구의 연구에 지구생리학(geophysiology)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를테면 바다로부터 육지로 물이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그의
아버지
는 부유한 상인이며 관리여서 가정은 유복했다. 그러나 그는 10세 때
아버지
를 여의고 아저씨 루카스 바젤로데에 의해 양육됐는데, 그의 아저씨는 1489년 에름탄트의 주교가 됐다. 코페르니쿠스는 이 아저씨를 따라 1496년에서 1506년까지 이탈리아에 유학했다.그 후 1512년 아저씨가 ... ...
영원한 수수께끼, 성(性)의 기원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23개씩의 염색체를 물려준다. 그 중 한개가 성염색체이다. 어머니는 X염색체를 두 개,
아버지
는 X염색체 한개와 Y염색체 한 개를 갖고 있다. 여자는 항상 X염색체를 물려주기 때문에 정자가 X염색체를 갖고 있으면 태아는 딸(XX)이 되지만 Y염색체를 갖고 있으면 태아는 딸(XX)이 된다. 이와 같이 ... ...
식성 유전자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먹이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여느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작은새우도
아버지
로부터 하나의 유전자 복제물(copy)을 받고 어머니로부터 또 하나의 복제물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작은새우들은 두 가지가 같은 유전인자를 가지게 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인자를 가지게 된다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살아있는 듯한 복잡한 패턴을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폰 노이만을 인공생명의
아버지
에 비유하는 이유이다.인공생명에서는 생명을 구성물질 자체의 특성으로 보지 않고, 그 물질을 적절한 방식으로 조직했을 때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출현하는 창발적 행동으로 간주한다. 랭톤은 ... ...
자 웃읍시다, 여러분!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것에 가깝고 다른 몇몇 '사회적'인 웃음들은 거짓 웃음을 거듭짓는 악한인 햄릿의 의붓
아버지
가 짓는 웃음( 겉으로는 웃고 있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내면 속에 있는 악을 감추고 있는)과 같은 것이다.오직 한 종류의 웃음만이 웃음을 짓는 사람과 그것을 보는 사람 모두에게 진짜로 좋은 효과를 준다.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인공위성을 발사했다. 현재 북한이 갖고 있는 노동 1호 역시 독일의 V-2 로켓을 할
아버지
로 한 같은 족보에 속해 있는 것만 보아도 V-2 로켓이 전세계의 로켓개발에 미친 영향을 잘 알 수 있다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지금 우리가 우주 도처에서 발견할 수 있는 3K 우주배경 복사라는 것."수소폭탄의
아버지
라 부르는 옛소련의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60년대 초반 우주는 완벽한 대칭이 아니라는 예언을 했습니다. 1억개의 입자와 1억개의 반입자 중 1개 정도는 차이가 생겼다는 것입니다. 당시에는 아주 용감한 ... ...
유전공학자 하지홍교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만고 끝에 천연기념물 지정받아하교수는 당시 어려운 점이 많았다고 토로한다. 다행히
아버지
와 동생이 경영하는 목장이 있어서 사육공간은 쉽게 마련할 수 있었으나 새끼가 늘어날수록 개집을 짓고 먹이를 대고 예방접종 등을 하는 일이 여간 힘든 게 아니었다. 이러다보니 자연히 돈이 많이 들어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맨델브로트어느 학문이든 이방인은 존재한다. 혼돈과학도 마찬가지다. 프랙탈 기하학의
아버지
라고 불려지는 베노이트 맨델브로트가 바로 그 주인공. 그는 푸앵카레 로렌츠 스메일 요크로 이어지는 카오스의 로얄패밀리와는 조금 다른 길을 걸었다. 그러나 그는 영원히 이방인은 아니었다. 현재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