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지"(으)로 총 1,4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발전한 수학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호를 꼭 써야 합니다.왜 평면도형을 알아야 하는 거지?우리 주변의 모든 대상에는 위치, 모양, 크기, 빛깔, 무게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하학에서는 그 대상의 위치와 모양, 크기만을 생각합니다. 기하학의 대상은 도형으로 종이나 공책, 칠판과 같은 평면 위에 ... ...
- 아찔아찔, 거울 나라 탈출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힌트엔 비밀이 숨겨져 있었어. 바로 거울 밖의 의자 개수도 포함되어 있다는 거지. 거울을 90°로 놓았을 때는 360÷(4)=90이야. 즉, 거울 앞에 놓인 의자 하나에 거울 속에 비친 의자 세 개까지 의자는 모두 네개가 된단다. 그 이유는 거울을 부채꼴로 놓으면 거울 밖 공간이 거울에 비치면서 360°의 둥근 ...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비교할 수 없이 높은 건물이 있더라고!내가 없는 새 누가 이렇게 높은 건물을 지은 거지? 난 너무 분하고 궁금해서 돌아가는 열차 시간까지 미루고 이렇게 한국에 찾아왔단다. 세계 최고층 건물인 부르즈 칼리파를 한국인들이 지었다며? 꼭 알아 내고 말 거야. 저 마법처럼 아름다운 최고층 건물 속 ... ...
- 문화재를 되살려라! 문화재보존과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단계로 이뤄져. 두 번째 방 금동 신발에 황금빛 숨결을~!자~, 그럼 이제 나를 만나러 오는 거지? 어…, 그런데 이번에도 엉뚱한 방에 들어가잖아? 거기도 내가 있는 방이 아니야. 금속 문화재를 복원하는 ‘금속실’인데….좋아! 이번에는 금속실을 소개해 줄게. 우리나라에서는 오래된 무덤을 ... ...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이해하면 우리는 위험을 계량화할 수 있습니다. 위험의 크기를 숫자로 나타낼 수 있다는 거지요. 은행이나 증권회사에서 위험에 대한 분석을 총괄하는 사람은 매일 특정한 수치로 위험을 점검한답니다. 바로 ‘바(VaR)’라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투자한 자산의 바값이 1억 원이라는 말은 앞으로 10일 ...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문제 만들기도 합니다. 수식으로 표현된 등식을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로 바꾸는 거지요. 문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수식이 어떤 상황에서 필요한지를 스스로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미지수의 값을 직접 구하는 연습을 하면서 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방정식을 활용하기 위한 기본 ...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들이라는 게 아니라, 가능한 한 최대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전략적으로 움직이라는 거지.”책을 읽으면서 꿈을 생각하며, 그와 함께 다른 여건들을 어느 정도 갖춰놓는 게 필요하다.“당장에 과학고를 준비할 여건은 못 되지만, 주어진 환경 안에서 최대한 노력한 모습을 보인다면 ...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어떤 사람의 좋은 면을 보고 그것과 아무 상관없는 다른 점까지 좋을 거라고 생각하는 거지.캘리포니아 대학의 앨버트 메라비안 교수는 우리가 다른 사람을 파악할 때 시각적인 정보 55%, 목소리나 말투 등 청각 정보 38%, 그리고 그 사람이 말하는 내용을 7% 정도 참고한다고 했어. 그럼 잘생기고 ...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초식공룡의 알이고, 타원형은 육식공룡의 알이야. 그러니 이 공룡알은 육식공룡의 알인 거지. 43㎝나 되는 국내 최대 크기라는 것도 공룡알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겠지? 알이 크면 공룡의 몸집도 크다는 뜻이니까 말야. 이 때 알껍데기의 두께도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단다.이제 눈을 좀 더 ...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종을 파악하는 일)’은 전문가 중 전문가가 아니면 하기 힘들다. 새 모습과 소리, 행동거지를 순간적으로 보고서도 그 종류를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새 도감을 줄줄 외운다고 해도 실제 자연에서 오랫동안 관찰하지 않고서는 새의 습성을 이해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새의 종류에 따라 몸집이 큰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