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걸인
거러지
부랑자
방랑자
거지발싸개
발싸개
행동거지
d라이브러리
"
거지
"(으)로 총 1,477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갑자기 밀려온 엄청난 파도나 쓰나미는 어떻게 생겨 난
거지
? 남극 세종기지, 기후변화 등 궁금증이 있다면 관련된 단어를 손으로 눌러 봐. 지구본 스크린과 벽면 스크린에 관련 영상이 나타나 궁금증을 풀어 줄거야!조력발전 ▲ 댐을 중심으로 양 쪽 물의 높이 차를 ... ...
주어진 여건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찾아 헤매다가 생물이 뭔지를 알게 됐고, 그때부터 꿈을 향해 다시금 도전하게 됐다는
거지
? 뒤늦게 하고 싶은 것을 찾았으니, 그때부터는 뭔가 노력하고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는 게 중요해. 그러려면 3학년 1학기 때에는 내신 성적을 많이 끌어올리도록 해야겠지.”J학생은 현재 내신 3등급에 ... ...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평형 상태가 깨지면서 더 많은 기체가 발생한대. 그러면 압력이 더 높아져서 위험해지는
거지
.실제로 지난해 미국의 한 돼지 농장에서는 분뇨 저장고가 폭발하는 바람에 주인이 12m나 날아간 사고가 있었대. 믿겨져? 사람이 하늘을 날다니 완전 대포에서 발사되는 수준 아냐. 소방관은 농장 주인이 ... ...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봐. 이건 치골이 뒤에 있는 뼈와 함께 나란히 앞뒤로 뻗어 있어. 바로 조반류의 공룡이란
거지
. 즉 새의 엉덩이뼈 형태를 가졌다는 말이야.그럼 치골이 앞쪽을 향해 있으면 무슨 공룡일까? 그건 용반류 공룡이라고 해. 도마뱀과 엉덩이뼈의 형태가 같다는 뜻이지. 목이 긴 공룡인 용각류와 두 발로 ... ...
수익과 위험의 시소게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표준편차를 뺀 값보다 크고 평균에 표준편차를 더한 값보다 작을 확률을 표시한
거지
요. 이러한 확률의 규칙은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 가로는 미래에 발생 가능한 수익률을 나타냅니다. 확률은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되지요.그림(a)는 수익률이 0.1(=10%)에서 0.2(=20%) 사이가 될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충실히 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그러면 어떻게 그쪽을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
거지
?” “책을 읽고 영향을 받은 것 같아요.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라는 책을 읽고 그의 연구와 삶에 감명 받았어요. 저도 원자물리학을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죠.” “일단 내신 성적이 ... ...
허풍의 그리스식 웨딩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칼을 갈며 허풍과 도형의 뒤를 밟아 온 코사노스트라. 일당의 근
거지
인 이탈리아에서 허풍과 도형을 처단하려 한다. 그러나 콜레오네 패밀리의 배신으로 코사노스트라의 꿈은 물거품이 된다. 코사노스트라와의 끈질긴 인연의 고리를 끊은 허풍과 도형은 고대 유적이 살아 숨 쉬는 아름다운 나라 ... ...
작전명령 ④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뛰어난 재능을 가진 천재로, 수학과 과학, 그리고 컴퓨터 분야에 많은 공을 세운
거지
. 하지만 핵폭탄으로 많은 생명이 죽고, 지금도 핵폭탄의 파괴력을 두려워하는 것을 보면 뛰어난 재능은 좋은 곳에 쓰여야 빛이 난다는 걸 생각하게 해. 요즘은 집집마다 대부분 컴퓨터를 가지고 있지? 특히 ... ...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게 반복되면 수면 생체 시계가 밤낮에 따라 맞춰져. 밤이 되면 자동으로 졸리게 되는
거지
.”“그렇구나. 그런데 잠을 꼭 자야 해?”코코 공주는 고개를 끄덕이며 대답했어.“그럼! 잠자는 동안 성장 호르몬이 나와서 키가 크는걸. 그리고 잠을 덜 자면 배부른 느낌이 들게 하는 ‘렙틴’ 호르몬이 ... ...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작은 앞발자국이 함께 남겨진 경우도 있어. 두 발로 걷다가 네 발로도 걸을 수 있다는
거지
. 특히 조각류의 발자국에는 여러 줄의 발자국이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이들이 무리를 지어 다녔다는 걸 알 수 있지.물구나무 선 공룡? 전라남도 해남군에서는 총 105개의 용각류의 발자국이 발굴됐어.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