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로마"(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2019.09.01
- 말라리아 Oxitec 제공 아무튼, 이후로 사르데냐는 로마의 일부가 되었다. 오랜 세월 동안 로마의 지배를 받았고, 중세에는 잠시 다양한 왕국으로 분열하여 싸우기도 했지만, 지금은 이탈리아의 땅이다. 그러나 사르데냐는 이탈리아와 조금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사르데냐의 독립을 ...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2019.08.25
- 90년부터 95년에는 무려 104명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다발성 경화증은 전염병이 아니다. 옛 로마제국의 영토, 사르데냐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그 비극의 시작은 기원전 5세기 카르타고의 사르데냐 침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참고자료 Susan Pinker (March 2012). "The truth about falling coconuts".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동아사이언스 l2019.08.23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패망도 중요한 기준이 되는 이유는 이때 이후로 본격적인 제정 로마의 시대가 활짝 열리기 때문이다. 2002년 새로 문을 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헬레니즘 시대에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친 걸출한 인물들이 많았다. 에우클레이데스는 그 대표적인 ...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2019.08.17
- 집대성한 인물이니 인류는 문명의 초기부터 말라리아에 대해 알고 있었을 것이다. 로마 제국의 쇠락이 말라리아 때문이라는 연구도 있다. 관개 농업이 크게 보급되고, 인구가 늘어나면서 말라리아가 창궐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낫 모양 적혈구 과거 어느 때인지 아직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2019.08.08
- 짐작할 수 있다. 히포크라테스 의학을 후대에 크게 번성시킨 인물이 있었으니, 제정로마 시대의 의학자 갈레노스였다. 2세기~3세기 초에 살았던 갈레노스는 아우렐리우스 황제 등 네 명의 황제의 시의를 지냈다. 갈레노스는 히포크라테스 의학(주로 4체액설)을 계승 발전시켜 그리스 의학을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2019.07.25
- 고해상도의 《아테네 학당》 그림을 쉽게 구할 수 있다. 마침 내가 지난 2018년 7월에 로마와 바티칸을 방문할 일이 있어 그때 꽤 좋은 카메라와 렌즈로 찍어 온 사진도 있다. 장비가 아무리 좋아봐야 내가 찍은 사진은 뭔가 엉성하고 모자라 보인다. 그래도 직접 찍은 사진을 보여주면 현장감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 의 ‘persica’는 이 식물의 원산지가 페르시아, 오늘날 이란 지역임을 반영한 결과다. 로마 시대에 페르시아에서 복숭아를 들여온 유럽인들은 페르시아가 원산지라고 생각하고 이런 학명을 지었다. 그러나 이란 지역에는 야생 복숭아가 없고 훗날 알아보니 중국 서북부 지역이 원산지라는 사실이 ...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첫날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플라이 바이'동아사이언스 l2019.01.01
- 향하는 카이퍼 벨트의 소행성 '2014 MU69'는 '울티마 툴레'로 불린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 말로 바꾸면 ‘극복의 땅’이며, 당시 알려진 세상의 경계에 해당하는 먼 북쪽 지역을 가리킨다. 울티마 툴레는 길이가 약 30㎞ 안팎의 얼음 소행성이다. 지구에서는 약 65억㎞, 명왕성에서 약 16억㎞나 ...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인류에게 유용하고 이로운 혜택을 주는 인공지능만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아실로마 AI 원칙’을 지지하기도 했다. 호킹 박사는 새로운 인공지능 기술 개발보다 인공지능 개발에 앞선 윤리와 도덕적 책임을 강조하며 우선시했다. “다른 태양계를 탐사하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다. ...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 보면 사람과 공동작업을 하는 또 다른 야생동물의 예로 돌고래를 들고 있다. 즉 1세기 로마시대의 군인이자 자연학자였던 플리니우스의 저서 ‘박물학(자연학)’에 어부들이 돌고래를 불러 함께 물고기를 잡는다는 기록이 있고 그 뒤에도 비슷한 언급을 한 문헌이 몇 개 더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 ...
이전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