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음질
달음박질
뜀박질
달리기
running
뉴스
"
러닝
"(으)로 총 1,00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복잡한 DNA 염기서열 해석·생성하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이어졌지만 대규모 유전체에 적용하면 계산 부담이 커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딥
러닝
기술을 활용해 긴 염기서열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AI 모델 Evo를 개발했다. Evo는 단순한 생물인 원핵생물과 파지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270만개 유전체 정보를 활용해 훈련됐다. 연구팀은 Evo를 활용해 ... ...
폼페이에 묻힌 인간 화석, 가족관계가 아니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미국 공동 연구팀은 고해상도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 두루마리를 촬영하고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두루마리에 적힌 문자를 확인했다.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훼손된 파피루스 조각과 두루마리 내용을 밝히는 ‘베수비오 챌린지’에 참여한 우승팀의 해독 성과다. 현대 과학기술을 통해 ... ...
"낮에 꾸벅꾸벅 존다면 치매 전조 증후군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를 진행했다. 연구 시작 시점부터 1년에 한 번씩 평균 3년 동안
러닝
머신을 이용한 보행 속도도 평가했다. 분석 결과 445명 중 268명은 평소 잠을 잘 잤지만 177명은 수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시작 시점 운동 인지 위험 증후군이 있는 참여자는 42명이었고 연구 ... ...
AI가 설계한 '인공 단백질'이 신약으로 빛 보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부정적인 결과물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점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꼽힌다. 딥
러닝
과정에서 알고리즘이 단백질 세포 독성 등 부정적인 결과도 학습해야 단백질의 안정성과 잠재적 유용성이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 ...
노벨 과학상 휩쓴 AI의 다음 행보는 공간지능·창발성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기술과 공간적 데이터를 활용해 물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는 심층학습(딥
러닝
) 모델도 중요하다. 산업계에선 이미 AI의 공간지능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 네이버의 기술연구 전문 자회사 네이버랩스가 2017년 분사 이후 국내외 출원한 공간지능 분야 특허는 지난 9월 말까지 누적 521개다. ... ...
[과기원NOW] UNIST 이규호 교수팀, 제25회 반도체설계대전 국무총리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30
받고 9월 1일 자로 조선대 교수로 부임했다. GIST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으며 딥
러닝
기술을 활용해 잡음 제거, 음성인식 등 음성과 오디오 신호처리 분야를 연구했다. 이 박사는 "GIST에서 배우고 익힌 경험을 바탕으로 실용적 연구에 집중하는 한편 도전 정신을 갖춘 과학 인재 배출에 힘쓸 것"이라고 ... ...
딥
러닝
기반 항생제 등 '보스턴 코리아' 신규과제 17건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신변종 분야 바이러스 출혈열 연구센터', 조병관 KAIST 교수와 바이스연구소의 '딥
러닝
기반 합성생물학을 이용한 혁신구조 항생제 개발' 등 4개 과제가 선정됐다 4년간 매해 20억원을 지원하는 자유공모형에는 이현숙 서울대 교수와 하버드대 의대의 '노화에 따른 항암 면역 기능 변화에 대한 대사 ... ...
아부다비서 중국에 있는 자율주행 로봇 AI 원격제어…국내 연구팀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성능을 개별 상황에 최적화하는 전략을 활용하며 1등을 차지했다. 수학적 기법과 딥
러닝
모델을 조합하는 기술이 우승의 핵심 원동력으로 꼽혔다. 로봇이 예상치 못한 장애물을 마주치거나 복잡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의 리더인 윤형석 박사과정생은 로봇 주행 ... ...
헬스장보다 맨몸 근력운동…지방 연소율 71% 달해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젊은 성인 실험 참가자 22명에게 맨몸 근력운동인 칼리스테닉스(Calisthenics)와 트레드밀(
러닝
머신) 달리기 운동을 하도록 하고 운동 중과 운동 후 60분간 에너지 소비량과 에너지원 소비 패턴을 각각 비교했다. 분석 결과 운동 중에는 맨몸 근력운동이 달리기보다 더 많은 탄수화물을 사용했다. 운동 중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가 집어삼킨 노벨상…식어가는 관심
2024.10.23
'로제타폴드'와 허사비스·점퍼가 개발한 '알파폴드'는 인공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딥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라는 것이 전부다. 단백질의 복잡한 3차 구조에 대한 이론적 설명은 불가능하다. 이미 구조와 기능이 확인된 단백질 6억 종의 빅데이터 중 일부로 학습했다는 사실 이외에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