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행동"(으)로 총 3,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갖고 있지 못해 어떤 문제를 실제로 생각할 수는 없지만, 사람 입장에서 봤을 때 똑똑한 행동을 한다. 애플의 ‘시리’나 구글의 검색 시스템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강한 인공지능은 지성, 이성, 감성 등 인간의 다양한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다. 인간과 대화하고 함께 생활하는 데 장벽이 없다. 영화 ...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줄이려면 면역력을 높여라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미국 콜로라도 볼더대 신경과학과 크리스토퍼 로리 교수는 6월 12일 캐나다에서 열린 국제행동신경과학회 연례총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연구팀은 쥐에게 박테리아를 3주 동안 3차례 주입하는 방식으로 면역력을 강화시킨 뒤, 쥐에게 위협을 가했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알아보기 ... ...
- 메르스 공포가 이웃을 향할 때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치닫지는 않으리라 믿지만, 미리 예방하는 것이 사회를 위해서 좋은 일이다.부주의한 행동이 있을 뿐 세상에 죽어도 싼 사람은 없다. 누구든지 감염이 일어난 그 자리에 있을 수 있었다. 그리고 개인의 이성이 충분히 작동하기 어려운 긴박한 상황에서 얼마든지 실수를 하기 마련이다. 감염자들이 ... ...
- 국가대표 체조선수는 사마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왜 사마귀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지에 대한 의견이 다양해요. 영양 섭취를 위한 행동이라거나, 사람들이 지켜보고 있는 인공적인 상황에서만 잡아먹는 거라는 주장도 있어요. 아직까지 의견이 모아지지 않은 모양이에요.네가 착지할 때 점프를 정확하게 한다며? 사실 우리 말고도 뛰는 곤충은 ... ...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못하고, 카르다노를 저주하며 쓸쓸히 삶을 마감합니다. 세월이 흘러 카르다노의 비겁한 행동이 드러났지만, 근의 공식은 이미 ‘카르다노의 공식’으로 불리고 있었습니다. 페로, 타르탈리아, 페라리의 이름은 그 후로도 들어가지 않았죠.카르다노가 아이디어를 훔치기만 한 건 아닙니다. ... ...
- 마법의 생물, 달팽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마법의 생물'이라고 표현한다. 부드럽고 고무줄 같은 몸만 신기한게 아니다. 감탄스러운 행동에도 아름다움이 깃들어 있다. 천장에 붙어서 거꾸로 움직이는가 하면, 몸을 길게 늘어뜨려 먼 거리를 훌쩍 뛰어넘기도 한다. 무거운 집을 매달고 있는 데도 힘든 기색 하나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만들면서 다가간다는 것이다. 보통 이런 행위는 암컷에게 구애를 할 때 볼 수 있는 행동인데, 아마도 악어가 기분이 좋아서 하는 짓이 아닐까 추정하고 있다. 2015년 미국 테네시대 블라디미르 디네츠 교수는 동물원의 악어들이 간혹 꽃잎을 가지고 논다는 사실을 학계에 보고했다. 그는 미국 ... ...
- 통증약 타이레놀, 감정 동요도 없애줘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 사람의 감정까지 무디게 만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행동의학연구소 웨이 발드윈 교수팀은 82명의 실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게는 아세트아미노펜 1000mg을 투약하고, 나머지 그룹에는 가짜 약을 먹게 했다. 그런 다음 이들에게 영양실조에 걸린 아이 같이 감정을 ... ...
- 아플 때 입맛 없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연구팀은 아플 때 체내 면역시스템이 활성화되면서 쓴맛에 민감해진다는 논문을 ‘뇌·행동·면역’ 4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면역세포 중 감염을 막는 조절 단백질인 종양괴사인자(TNF) 유전자가 없는 쥐와 있는 쥐의 ‘입맛’을 비교했다. 그 결과 TNF를 만들어낼 수 있는 ... ...
- 포식자에 따라 행동 바꾸는 개구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두려움은 피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란 말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동물에게 적용된다. 호주 맥쿼리대 매튜 버벌트 교수팀은 개구리가 포식자의 종류에 따라 때론 피하고 때론 맞서는, 서로 다른 전략을 취한다는 연구결과를 ‘미국과학공공도서관저널(PLoS ONE)’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