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우리 결혼할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지금부터 ‘은땜’을 할 거예요. 납땜이랑 비슷한 거예요.”연결하려는 금속 자체를 녹여서 붙이는 용접과 달리, 땜질은 붙이려는 물체보다 녹는점이 낮은 물질을 두 물체 사이에 흘려 넣습니다. 은반지를 잇는 데 쓰는 땜질용 은은 순은에 아연 등을 섞어서 만들어요. 순은은 녹는점이 961℃인 데 ...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석조 문화재에 비해 목조 문화재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나무 자체가 생물 재료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숙명이지요. 그렇지만 조금만 신경을 쓰면 나무도 생물 피해 없이 오래 보존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관리만 해 주면, 천 년 이상 흐트러짐 없이 생명력을 유지할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같은 신념을 공유하면 가족만큼 강한 연대감을 느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투 그 자체가 소속감을 높였다면 같이 전투를 한 동료들만 높이 평가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전투에 참가하지도 않고, 같은 정신을 공유하지도 않은 평범한 리비아인들과의 융합도는 1%로 형편없이 낮았다. 나중에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해결방안은 ‘에너지 절약’이다. 소비하는 에너지량 자체를 우선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윤순진 교수는 “우리는 에너지 낭비가 구조화된 삶을 살고 있다”며 “독일은 감축목표의 50%를 일단 소비에서 줄이고, 그 다음에 재생에너지, 저탄소 기술을 통해 ...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 횟수가 훨씬 적었다.Q 그럼 고추를 많이 먹으면 파킨슨병을 예방할 수 있을까캡사이신 자체가 뇌혈관을 통과할 수 있어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동물실험에 사용한 용량을 인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매일 손가락만한 청양고추를 10개씩 먹어야 할 정도로 양이 많다. 향후 더 많은 연구가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편에는 새로운 로봇 ‘BB-8’이 등장한다(사진➋). 마치 눈사람처럼 생긴 이 로봇은 몸통 자체가 바퀴처럼 구르면서 빠르게 이동한다. 굴러가면서도 몸통 위에 붙어 있는 머리는 움직이지 않아 정교한 컴퓨터 그래픽(CG)처럼보이지만, 이 로봇은 그래픽이 아닌 진짜 로봇이다.제작사인 루카스필름 ... ...
- 외로움의 허기를 무엇으로 달랠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다른 이와 관계를 맺고 협동하며 진화했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지금 외롭다면 그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외로움을 푸는 방법은 문제가 될 수 있다.외로움을 이기는 저마다의 방법외로움을 해결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천차만별이다. 어떤 이들은 도박을 통해 외로움을 잊으려고 한다. 한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의 자동차 분야 연구개발 예산 자체는 2011년 1088억 원에서 2015년 1455억 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내연기관 과제에 지원되는 돈은 167억 원에서 50억 원으로 4년새 70%나 줄었다. 전체 예산의 69%인 1006억 원이 자동차 부품 품질인증센터 구축 등 지역자동차 사업에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수 있다. 물론 적당한 n을 잘 골라 n의 배수번째 수들을 더해나갔을 때 말이다. 사실 문제 자체는 중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그리 어렵지 않다. 하지만 이를 증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를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지난해 2월 발표된 논문이다.영국 리버풀대 알렉세이 리시차와 보네스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기록을 하나로 정리했다. 특히 조선의 관측 기록은 케플러가 기록한 것보다 정교해서 그 자체로 초신성의 유형이 Ⅰ형이라는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을 정도였다. 반면 케플러의 기록만으로는 초신성의 유형을 분명하게 구분할 수 없었다.김 교수의 발견으로 한국 천문학계는 조선시대의 천문학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