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쥐 실험 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조현병과 관계있는 변수는 비타민D가 아니라 ‘햇빛’ 그 자체라고 주장했다.우리 몸에서 심장박동은 24시간을 주기로 변화하는데, 낮에 밝은 빛을 적게 쪼이면 그 변화 폭이 작아진다. 심장박동의 일주기 진폭이 작아지면 밤에 산모의 혈장에 녹아있는 멜라토닌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질량이 다른 기본입자에 비해 매우 작은 것도 미스터리다. 따지고 보면 중성미자는 그 자체가 특이한 존재다. 중성미자는 스핀(질량, 전하량처럼 입자가 가진 고유한 특성) 방향이 늘 한쪽으로만 향하는 이상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표준모형은 그 현상을 설명할 뿐 왜 그래야만 하는지 이유는 ... ...
- [Tech & Fun]광물이야기11 ‘생얼’이 더 아름다운 광물 형석(Fluorite)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사람은 약점을 감추고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할 목적으로 화장을 한다. 때로는 얼굴 윤곽 자체를 바꾸기 위해 성형도 마다하지 않는다. 그래서 ‘성형미인’, ‘자연미인’이라는 표현도 생겼다. 하지만 수집용 광물은 성형 같은 인위적인 조작을 용납하지 않는다. 오직 자연미인만 인정받는다.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영원할 것 같지만, 더 좋은 기술이 생기면 아마 다른 건물로 바뀌게 될 겁니다. 건축물 자체가 아니더라도 리모델링이나 보수작업과 같은 수요가 있기도 하고요. 빠른 소비가 이뤄지는 산업은 아니지만 꾸준히 장기적으로 봐야 하는 산업이기 때문에 건축산업이 무너질 일은 절대 없을 겁니다.김동원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반도체 공정을 통해 개발한 이 장치는 외부에서 따로 전원이나 빛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빛을 쏴 뇌에 신호를 줄 수 있다. 크기는 현재 사용되는 광유전학 장비와 비슷하고, 무게는 1.8g 정도로 가볍다. 뿐만 아니라 미세관을 통해 서로 다른 네 가지 약물을 특정한 지점에 동시에 전달할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리스 사람들이 생각했던 원자의 개념인 ‘깨지지 않는 입자’와는 차이가 있다. 원자 자체가 구조를 가진 복합체이기 때문이다. 20세기 초반, 가장 가벼운 원소인 수소에 열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물리학자들은 수소 스펙트럼이 예상과 달리 아주 독특하다는 사실을 알게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벽을 만지면 젖은 모래처럼 쑥 들어갔다. 성이 아직도 온전한 모습으로 서 있는 것 자체가 신기할 지경이었다.그들이 아홉 번째 층에 도착했을 때 난간 구석에 숨어 있던 무언가가 튀어나왔다. 그것은 뒤에서 길잡이의 허리를 감싸 안고 뒤로 물러났다. 그것은 녹슨 칼을 그녀의 목에 가져가더니 ... ...
- [소프트웨어]로보티즈 IoT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런 다음 ‘태스크’라는 프로그램으로 코딩 과정을 거친다. 태스크는 로보티즈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프로그램으로 난이도가 스크래치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중간 정도다. 스크래치를 사용하다가 프로그래밍 언어를사용했을 때 겪는 난이도 격차를 줄일 수 있다.코딩 단계에서 변수를 조절하면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등 발암물질과 내분비교란물질(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 윤 교수는 “플라스틱 자체는 안전하지만, 200℃가 넘는 열로 녹이면 몸에 유해한 ‘열분해 산물’이 나온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FDM 프린팅용 필라멘트로 흔히 사용되는 ABS 수지는 아크릴로나이트릴(A), 부타디엔(B), 스타이렌(S) 등 세 가지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풍요롭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어쩌면 인류의 중요한 과학적 발전은, 진보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할 때가 아니라 본능적인 궁금증을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나오는 것인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Part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Part 2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