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나는 계속해서 커졌다. 연결 방식을 바꾸기도 했고, 나중에는 아예 나를 구성하는 뇌세포 자체를 조금씩 개조해서 더 성능이 좋은 방식으로 고치기도 했다. 그러니 연결된 전체 덩어리의 효율은 더욱더 좋아졌다.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복잡한 문제를 생각하고, 동시에 모든 단순한 일들에 ... ...
- [수학뉴스] 세기의 대결! 인공지능 vs 바둑 최강자 이세돌 9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알파고가 과연 이세돌 9단을 이길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구글이 자체적으로 알파고가 프로 5단 수준이라고 평가한 것을 근거로 이세돌 9단이 이길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고, 실수를 하지 않는 컴퓨터가 이길 것이라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알파고와 승부를 앞두고 있는 이세돌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배출되는 통로가 막혔거나, 선천적으로 정관 형성이 안 된 경우다. 정자 형성 과정 자체에 문제가 있는 비폐쇄성 무정자증이라도 그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정상 정자를 골라 인공수정에 사용할 수 있다.불임환자가 아닌 사람도 이용해야 할 경우가 있다.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앞둬 생식기능을 ...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확률이 높으며 관계의 다양성도 떨어진다. 사실 관계 초기에 엄격하려고 해봤자 정보 자체가 제한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고, 관계가 진행되면서 엄격해지는 게 전체적으로 더 낫다. 일단 믿고 나면 정리를 현명하게 하는 게 중요해진다. 부정적인 정보에 집중하면서도 ‘지나치게’ 부정적인 면만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불임성 일꾼 곤충이 다윈을 괴롭힌 진짜 이유는 따로 있었다. 다윈은 불임성의 진화 그 자체는 별로 큰 어려움이 아니며 자신이 이미 정답을 찾았다고 믿었다. 다윈에게서 “가장 큰 어려움”은 형태적으로 다양한 여러 일꾼 계급들이 어떻게 생겨났느냐는 문제였다. 잎꾼개미에서 나타나는 대형,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배터리,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등에 들어가는 그래핀 부품의 시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자체 인력은 200명 남짓이지만, 전세계 35개 기업과 기술 협력을 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혹시 방문하게 되면 연구진들의 얼굴을 유심히 보세요. 2004년 그래핀을 처음으로 분리해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영국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많죠. 하지만 해석학 공부를 깊이 하다 보면 생각이 달라져요. 증명에 이용하는 아이디어 자체가 중요해지기 때문이죠. 여기에 익숙해지기만 하면 몇 쪽이 넘어가는 증명도 결국 하나의 아이디어에 좌우된다는 걸 알 수 있어요.여러 나라에서 공부를 해보셨다고 했는데, 외국에서 연구를 할 때 ... ...
-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난 동작으로 수정한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개발하는 것이다. 자, 그러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아마 처음에는 오타 자체를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다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오타는 어차피 날 수밖에 없으니, 조금 더 빠르게 오타를 수정할 수 있는 앱을 만들면 어떨까?’201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기관인 톰슨로이터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명단을 1월 14일 발표했다. 자체 학술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웹 오브 사이언스’를 이용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등록된 논문 12만 건 이상의 인용 지수를 평가한 결과, 상위 1%에 속하는 과학자는 총 3126명이었다. 한국인 연구자들은 총 1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특성을 가진 다른 원소들을 토대로 몇 가지를 예측할 뿐이다. 초중 원소는 발견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워 앞으로도 화학적 특성이 밝혀질 가능성이 극히 적다. 그럼에도 113번 원소의 발견은 의미가 굉장히 크다. ‘불안정한 바다(sea of unstability)’ 한가운데에 있을 ‘안정성의 섬(island of stability)’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