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한 핵연료를 재사용해 폐기물 양 자체를 줄여야 한다. 그래서 안 교수는 핵연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 후 핵연료를 재사용하며, 핵 비확산 등 세 단계의 ‘핵주기’ 완성을 자신의 최종 목표로 삼았다. 원자력에너지 분야는 국가 간에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보호할 수 있다는 주장은 논리적 비약이라는 얘기다. 쟁점3 사드 자체의 결함?사드 자체의 신뢰성도 논쟁거리다. 국방부는 최근 “사드가 그동안 14차례 시험평가에서 모두 성공해 성능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기에는 맹점이 있다. 실험 영상을 보면, 크고 느린 항공기에서 시험용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필자도 이 프로젝트에 간접적으로 참여했다. 체스는 경우의 수는 많지만, 규칙과 목표 자체는 단순한 게임이다. 컴퓨터의 장점, 즉 극대화된 계산 능력이 빛을 발하기에 꼭 맞는 분야다. 그에 비해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어는 규칙이 단순하지 않고, 같은 표현이라도 전체 맥락에 따라 의미가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하다. 누가 그랬다. 독서란, 어떤 책을 읽고 영감을 받아 다음에 읽을 책을 정하는 과정 그자체라고. 과학책이 읽고 싶지만 선뜻 그러지 못했던 외로운 독자들에게 이 책이 출발점이 돼 줄 것이다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기관인 톰슨로이터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명단을 1월 14일 발표했다. 자체 학술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웹 오브 사이언스’를 이용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등록된 논문 12만 건 이상의 인용 지수를 평가한 결과, 상위 1%에 속하는 과학자는 총 3126명이었다. 한국인 연구자들은 총 1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9.77t) 사고 조사에 투입됐다.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해 수중감식이 진행됐다. 돌고래호 자체가 거대한 증거물이었다.“배가 뒤집힌 채 떠 있는 상태였는데, 언제 가라앉을지 모르니 위험할 수밖에요.” 그의 팀은 돌고래호 안에서 위치발신장치인 브이패스(V-PASS)를 수거해 사고원인을 밝히는 데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때 니세롱의 책을 참고한다더군요. 오로스의 그림은 거울에 비추기 전 상태라 해도 그 자체로 멋진 풍경화랍니다. 원기둥 거울에 비추기 전에는 어지러운 방 안의 모습인데 이 그림 한 가운데에 거울 기둥을 두니 거울 속에 아인슈타인이 나타났지요? 그렇게 어렵지 않는 수학으로 이런 작품을 만들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많죠. 하지만 해석학 공부를 깊이 하다 보면 생각이 달라져요. 증명에 이용하는 아이디어 자체가 중요해지기 때문이죠. 여기에 익숙해지기만 하면 몇 쪽이 넘어가는 증명도 결국 하나의 아이디어에 좌우된다는 걸 알 수 있어요.여러 나라에서 공부를 해보셨다고 했는데, 외국에서 연구를 할 때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특성을 가진 다른 원소들을 토대로 몇 가지를 예측할 뿐이다. 초중 원소는 발견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워 앞으로도 화학적 특성이 밝혀질 가능성이 극히 적다. 그럼에도 113번 원소의 발견은 의미가 굉장히 크다. ‘불안정한 바다(sea of unstability)’ 한가운데에 있을 ‘안정성의 섬(island of stability)’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경북 경주의 월성원전에서 중수를 활용해 산업용 삼중수소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에는 아직까지 중수로가 없다. 평안북도 영변의 흑연감속로를 중수로로 바꾸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으로 폭탄에 필요한 대량의 삼중수소를 확보하긴 힘들다. 황주호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