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어"(으)로 총 1,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편리한 인터넷 이용 한글도메인 서비스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을 필요가 생겼다. 이런 이유에서 많은 나라에서 영어 대신 자신들에게 가장 편리하고 익숙한 자국 언어를 이용한 도메인 서비스를 생각하게 된 것이다.현재 계층방식 다국어도메인 서비스가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시작되고 있다. 미국에 있는 도메인 등록 ... ...
- 요일 이름에 담긴 음양오행과 점성술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수 있나요? 비행기 타고 한시간 반만 날아가서 내려도 한국어는 통하지 않는 걸요.그런데 영어의 요일 이름에는 토요일을 제외하고는, 우리에게 꽤 친숙한 로마의 신들 이름이 붙어 있지 않습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영국은 로마 제국에서 북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던 나라입니다. 서기 300년 즈음 ...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언어를 사용한 것도 특이할만한 점입니다. 언어는 폴란드어, 게임이나 모니터에는 영어가 뜨고, 책은 일어로 됐다는 점이 감독의 의도가 아닐까요. 감독이 시간과 공간의 모호한 배경을 선호하는 것 같기도 하구요.미경_ 다른 얘기긴 한데, 강아지가 없어진 이유는 뭡니까.의준_ 개가 없어지면서 ... ...
- 화성과 금성 나타내는 행성기호 ♂ · ♀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신들이 살던 올림포스의 깡패였던 것으로 전해진답니다.그리스 이름, 로마 이름, 영어 이름이 마구 등장하니까 헛갈릴 것입니다. 이제부터는 그리스식 이름을 쓰면서 필요할 경우에만 로마식 이름을 괄호에 넣도록 하지요. 아프로디테(베누스), 아레스(마르스), 이런 식으로요.아름답기로 소문난 ...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과목을 배운다.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외국어(영어)가 그것이다. 그리고 과학은 3학년부터 시작된다. 올해부터 초등 3·4학년과 중학 1학년(7학년)은 7차교육과정이 적용된 교과서로 배운다. 한편 7차교육과정부터는 문·이과의 구분이 사라진다. 그리고 고등 ... ...
- 목소리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시대 꿈꾼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한국인과 미국인이 전화통화를 할 때 실시간으로 한국어와 영어를 상호 통역해주는“자동통역전화가 앞으로 구현될 수 있는 꿈의 기술”이라고 언급했다.음성언어연구실에서는 실시간으로 음성의 속도를 변화시켜주는 장치를 비롯한 10가지의 특허를 출원 또는 ... ...
- 연금술을 발명한 신 헤르메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이름을 얻게 됩니다. ‘알’(al-)이 탈락한 ‘키미스타’(Chimysta)가 그것입니다. 오늘날의 영어에서 ‘화학자’는 어떤 이름으로 불리지요? ‘케미스트’(Chemist)이지요.근대 과학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화학의 조상은 연금술입니다. 그 연금술의 정점에는 누가 있지요? 바로 이것과 저것을 이어주는 ...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보고 만일 재미있는 전설이 있다면 필자에게 알려주기 바란다. 여러 사람에게 알리고 영어로 번역해 세계에도 널리 알릴 수 있게 말이다).우치다라는 일본 사람은 이미 1970년대 초에 자기네 나라 별자리 이야기를 수집했다. 그 가운데 삼수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일본에서는 삼수를 장구처럼 ...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차려 놓았습니다’와 ‘밥 먹어라’를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또 영어와 각종 외국어를 매끄럽게 상호 번역하는 프로그램도 개발하고 있다.콘텐츠 복제 방지용 다중열쇠인터넷에서는 지적 소유권자와 다수의 사용자 사이의 불화가 흔하게 일어난다. 몇번의 클릭으로 공들여 ... ...
-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이 최종대회에 참가하는데, 대상과목으로는 수학, 물리, 화학, 그리고 특이하게도 영어가 있다.그런데 여기서 두각을 드러내는 학생들 중 상당수가 특정학교 출신이다. 바로 평양제1고등중학교다. 과연 어떤 학교일까.과학고와 비슷한 시기에 설립이를 알아보기 전에 우선 북한의 학제를 살펴보자.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